[환율 전망] 기다림이 길어질수록 지치는 원화

2025.7.25 달러/원 환율 1,365~1,377원 전망
25.07.25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달러 반등과 한미 협상 지연에 상방, 유로화가 상단 제약
  • [글로벌 동향] ECB 인하 사이클 종료 기대, 미국 지표 호조에 달러 반등
  • [마켓 이슈] 옛날엔 웃다가 이제는 찌푸리는 달러, 미국 성장에서 재정으로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달러 반등과 한미 협상 지연에 상방, 유로화가 상단 제약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국과 EU의 무역협상 기대에 따른 달러 약세에 1,375원으로 하락 개장. 장중 한미 2+2 합의 불발에 일시 반등했으나, 위험선호 분위기가 이어지며 하락 흐름 지속. 외국인의 국내주식 대규모 순매수 등 원화 자산 선호에 1,360원대 진입, 전일 종가 대비 12.6원 하락한 1,367.2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미국 지표 호조에 따른 달러 반등에 상승하며 1,371.3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5.25원 상승한 1,370.0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강세와 역외 거래를 감안해 1,370원대로 상승 개장 예상. 미국 지표의 예상 외 호조에 달러가 반등하며 달러/원 상승에 일조. 더불어 한미 협상 지연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 역시 원화 강세를 제약할 소지

따라서 금일 환율은 1,370원대 복귀 이후 추가 상승 예상. 다만 유럽 ECB 인하 사이클 종료 기대에 따른 유로화 강세 압력이 원화에 간접적 영향, 달러/원 상단을 제약하는 요소가 될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ECB 인하 사이클 종료 기대, 미국 지표 호조에 달러 반등

전일 미 달러화는 ECB 금리동결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지표 호조에 강세 전환.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27% 상승한 97.49pt 기록. 유럽 중앙은행(ECB)은 통화정책회의에서 예상대로 정책금리를 동결. 지난해 7월 금리인하 사이클 시작 이후 처음으로 동결

크리스틴 라가르드 총재는 디스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둔화) 마무리 국면에 있고 성장 여건도 우호적이라며, ECB는 -일시중지 (pause)가 아닌- 동결 (hold) 상태에 있다고 언급. ECB 인하 사이클 종료 기대에 유로 벤치마크 금리인 독일 분트 금리가 급등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1만 7천건을 기록하며 예상치 (22만 6천건) 및 전주치 (22만 1천건)를 하회. 또한 S&P 글로벌에 따르면, 미국의 7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 (PMI) 예비치가 52.2로 발표되며 기준치 (50.0)와 예상치 (53.0) 및 전월치 (52.9)를 모두 상회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옛날엔 웃다가 이제는 찌푸리는 달러, 미국 성장에서 재정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이후, 미국 경제지표 (실물경기)의 달러 설명력이 약화되며, '달러 프라운 (Dollar Frown)'이라는 새로운 이론에 주목. 기존의 전통적 달러 스마일(Dollar Smile)' 이론은 미국과 비미국 경제 간 상대적 성장 여건에 따라 달러 강약세 설명. 반면, '달러 프라운'은 미국의 재정 이슈에 더욱 초점

해당 이론의 핵심은 미국 경제가 성장하더라도 재정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달러가 약세라는 점. 최근 달러는 견고한 성장세에도 불구, 신용등급 강등과 감세법 (OBBBA) 이슈로 약세를 보이며 해당이론의 설명력을 일부 입증

'달러 프라운'이 달러/원에 주는 함의로, 이제 단순히 미국 경제지표 해석만으로는 환율 방향을 가늠하기 어렵고, 여기에 재정 리스크라는 새로운 변수가 추가되었다는 점. 즉, 미국 성장과 재정 이슈 사이에서 상대적 중요도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심화, 이에 따라 환율 변동성 또한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

달러 스마일 (Smile) vs. 달러 프라운 (Frown)

'달러 스마일'과 '달러 프라운'의 달러 강세와 약세를 통한 내용을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