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는 사람이라면 교통비가 부담될 수 있어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교통비를 할인받을 수 있는 카드가 있는데요. 바로 K-패스예요. K-패스 대상과 적립률, 카드 발급 방법을 알아볼게요.
작게
보통
크게
목차
3줄 요약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는 사람이라면 교통비가 부담될 수 있어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교통비를 할인받을 수 있는 카드가 있는데요. 바로 K-패스예요. K-패스 대상과 적립률, 카드 발급 방법을 알아볼게요.
K-패스란?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대중교통비의 20~53%를 돌려받을 수 있는 카드예요. 최대 월 60회까지* 혜택받을 수 있어요.
K-패스 환급 대상
K-패스 환급 대상과 조건은 다음과 같아요.
K-패스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이동 거리와 관계없이 조건에 따라 이용 금액의 20%에서 53%까지 환급받을 수 있어요.
대상별 K-패스 적립률
| 대상 | 적립률 |
| 만 19세 이상 일반 | 20% |
| 청년 | 30% |
| 저소득층 | 53% |
| 다자녀 | 2인 30% 3인 이상 50% |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6년부터는 K-패스 혜택 대상에 ‘어르신 유형’이 새로 생길 예정이에요. 그러면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 K-패스를 이용하면 30%를 적립 받을 수 있어요.
K-패스는 광역버스를 포함해 버스, 신분당선, GTX 등 도시·광역철도, 공항철도 등에서 적립 받을 수 있어요. 단, 시외(고속)버스, KTX, SRT, 공항버스처럼 티켓을 별도로 발권해야 하고, 다른 교통수단과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은 제외돼요.
몇몇 지방자치단체는 K-패스를 기반으로 지역 주민 전용 혜택을 더한 카드를 내놨어요. 경기, 인천, 부산, 세종, 충남, 경남, 광주, 울산 지역에서는 대상이나 적립률을 확대했는데요. 지역별 지원 대상과 혜택은 K-패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KB국민카드 K-패스 체크카드 혜택
KB국민카드의 K-패스 체크카드*는 포인트리로 대중교통 10% 적립, 생활서비스 1%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KB Pay 앱 이용 시 생활서비스 1%를 추가로 적립 받을 수 있고요.
K-패스 체크카드 발급 방법
KB국민카드의 K-패스 체크카드는 KB Pay 앱이나 KB국민카드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
K-패스 등록
K-패스 환급받는 방법
K-패스는 카드를 발급받는다고 해서 바로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요. K-패스 홈페이지나 앱에서 회원가입 후 내 카드를 등록해야 해요.
K-패스 홈페이지나 앱에 내 카드가 정상적으로 등록되면, 평소처럼 버스, 지하철을 타면 돼요. 한 달 동안 대중교통을 15회 이상 타면 매번 따로 신청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환급돼요.
K-패스 환급금이 들어오는 시기는 카드사마다 다른데요. KB국민카드의 K-패스 환급금은 적립한 달의 다음 달 마지막 영업일에 계좌로 입금돼요.
K-패스 자주 묻는 질문
K-패스는 광역버스를 포함해 버스, 신분당선, GTX 등 도시·광역철도, 공항철도 등에서 적립 받을 수 있어요. 단, 시외(고속)버스, KTX, SRT, 공항버스처럼 티켓을 별도로 발권해야 하고, 다른 교통수단과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은 제외돼요.
네, K-패스로 신분당선을 이용하면 적립 받을 수 있어요.
KB국민카드의 K-패스 환급금은 적립한 달의 다음 달 마지막 영업일에 내 계좌로 입금돼요.
K-패스는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사업으로, 전국 17개 시·도 210개 시·군·구에서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요. 자세한 지역은 K-패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