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인플레이션과 고금리의 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 Fed)가 기준금리를 22년 만에 최고 수준인 5.25~5.50%까지 인상하는 등 고물가, 고금리, 고유가, 강달러 환경 속에서 주요국의 장기금리도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미국채10년 금리는 7월 FOMC 이후에만 1.12%p 급등하며 4.99%까지 상승했다. 2007년 이후 최고치이며 역사적 저점인 2020년 8월 0.51% 대비로는 4.48%p나 급등했다. 우리나라 국고채 10년 금리도 7월 FOMC 이후 0.73%p 급등하며 4.39%까지 상승했다. 고금리의 장기화 우려로 주요국 증시도 상승 추세가 꺾인 채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연준의 통화긴축이 꽤 높은 강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글로벌 경기침체의 조짐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명목정책금리를 5% 위로, 실질 기준으로는 2%대까지 가파르게 인상했음에도 불구하고 누적적인 통화긴축 효과가 경제전반에 관찰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파월 연준의 장은 2023년 7월 말 FOMC에서 “우리는 더 이상 경기침체를 예상하지 않는다”며 그동안의 경기침체 전망을 철회했다.
미국경제에서 통화긴축 효과가 빨리 나타나지 않는 이유로는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다. 첫째, 고용시장이 탄탄하다. 부채가 많지 않은 고령자들이 팬데믹 기간 동안 자산가격 상승을 경험하면서 은퇴를 결심했고, 이민자의 유입이 많지 않아서 저임금/저숙련 일손은 계속 부족하다.
또한 팬데믹이 시대 전환을 가속하면서 기술 기업의 고숙련 노동자 수요가 급증했지만 공급이 그에 미치지 못했던 점도 고용시장을 탄탄하게 만든 이유다. 둘째, 미국 가계는 변동금리보다 장기 고정금리 모기지의 비중이 높다. 미국 가계 대출의 70%를 차지하는 모기지(주택담보대출)가 대부분 장기 고정금리라서, 기준금리가 인상되더라도 가계의 모기지 원리금 상환 부담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점 역시 경제전반에 통화긴축 효과가 즉각 반영되지 않도록 만드는 원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