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 필수! 경조사 축의금, 조의금 기준 및 봉투 쓰는 법

2024.08.14

읽는시간 4

0

초록색 바탕에 '축의금' · '조의금' 금액 기준 및 봉투 쓰는 법 글자가 적혀있다.

안녕하세요
키위뱅크입니다. 🥝


사회생활을 하면서 경조사에 참석해야 할
일들이 종종 생기게 되는데요.


사회초년생에게는 경조사에 참석하기 전부터
축의금, 조의금 금액에 대해 고민이 되실 거예요.


결혼식 축의금 또는
장례식 조의금(부조금) 금액 기준과
봉투 쓰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kiwi' 캐릭터가 윙크하고 있다.

축의금 봉투 쓰는 법

'축의금 봉투' 쓰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결혼식장에도 봉투가 준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져

별도로 준비하지 않아도 되지만

알아두면 혹시 모를 상황에 당황하지 않을 거예요!

 

기본 규격 흰색 봉투 앞면에 한자로

축결혼, 축화혼, 축성전, 축성혼, 하의 라고 적는데요.

 

각각 한자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1. 축결혼(祝結婚) : 결혼을 축하함(*신랑 측에서 주로 사용)

2. 축화혼(祝華婚) : 빛나는 결혼을 축하함 (*신부 측에서 주로 사용)

    ※ 신랑, 신부측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기도 해요!

3. 축성전(祝盛典) : 성대한 결혼을 축하함

4. 축성혼(祝聖婚) : 성스러운 결혼을 축하함

5. 하의(賀儀) : 예식을 축하함

 

한자가 아니더라도 한글로

‘결혼을 축하합니다’ 등의 축하 문구를 써도 좋아요.

조의금(부의금) 봉투 쓰는 법

'조의금 봉투' 쓰는 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조의금(혹은 부의금) 봉투도 장례식장에

미리 구비되어 있어 사용하면 되지만

한자의 의미를 알고 직접 써가면 의미 있을 거예요.

 

상황이나 전하고 싶은 의미에 맞춰 사용하고,

‘삼가 애도의 뜻을 표합니다’ 등 한글로 써도 좋아요.

 

1. 부의(賻儀) : 상가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

2. 근조(謹弔) : 사람의 죽음에 대하여 삼가 슬픈 마음을 나타냄

3. 추모(追慕) : 죽은 사람을 그리며 생각함

4. 추도(追悼) : 죽은 사람을 생각하여 슬퍼함

5. 애도(哀悼) : 사람의 죽음을 슬퍼함

6. 위령(慰靈) :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함

봉투 작성하는 법 : 뒷면

'부조 봉투' 뒷면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봉투 뒷면 왼쪽 아래에

부조하는 사람의 이름을 세로로 작성해요.

 

본인임을 알아볼 수 있도록

이름의 오른쪽에 소속 혹은 직책을

함께 기재하면 좋아요.

축의금, 조의금 금액 기준

'축의금' 및 '조의금 금액' 기준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봉투 작성하는 법을 알았으니

가장 난감했을 금액 기준에 대해 알아 볼게요!

 

경조사 금액은 음양오행 이론에 따라

홀수가 길한 숫자라고 여겨

홀수 금액에 맞춰서 내야 하지만

9는 피하고 꽉 찬 숫자인 10, 20을 낸다고 해요.

 

친분(관계), 식대, 참석 여부 등을 고려하여

금액을 정하게 되고,

추가적으로 봉투 외에 선물을 주기도 해요.

 

경조사 금액 기준은 통상적일 뿐

본인의 경제 상황이나 관계 등

여러 상황에 맞춰 고려해보는 것이 중요해요!

키위뱅크가 알려주는

경조사 축의금, 조의금 준비하는 방법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처음이라 서투르고 어려울 수 있지만

경조사를 참석하여

축하와 위로의 마음을 전하는 것만으로도

큰 힘이 될 거예요!

'kiwi' 캐릭터가 선물 상자를 들고 감사 인사하고 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