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아부다비 투자청

Abu Dhabi Investment Authority

21년 말 기준으로 자산규모 8,280억불로 세계 3대이자 UAE 최대의 국부펀드. 전 세계 주식, 채권, 부동산 및 인프라 등에 투자하고 있는 ADIA는 아부다비 금융투자이사회(Abu Dhabi Financial Investment Board)에서 분리되어 출범한 아부다비 정부 소유의 조직이다. 그러나 ADIA는 정부 지시를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투자 활동을 수행하며, 그 운용 자산은 아부다비 정부 지출과 별개로 간주되어 정부 준비금(Reserve fund)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아부다비 정부는 복지 지출을 위한 예외적인 경우에만 ADIA의 자금을 인출할 수 있지만, 실제로 인출된 적은 없다고 알려져 있다.

운용 방식은 UAE 국부 펀드 중 가장 보수적이며, 재무적 투자자로서 장기적인 금융 수익을 우선시한다. ADIA는 비상장 기업 투자를 최소화하고 위탁 펀드 내 개별 기업의 투자 비중이 10%를 넘지 않도록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북미, 유럽, 아시아 및 신흥국을 중심으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ADIA는 내외부 펀드 매니저와 자산 전문가들을 통해 글로벌 경제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산별 잠재적 위험과 수익을 비교해 전략을 수립한다. 이때 규율(Discipline)과 유연성(Flexibility) 사이의 균형을 강조하여 포트폴리오가 장기 비전에 부합하면서도 중요한 대외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투자 전략을 구축한다. ADIA는 UAE 및 걸프 지역에는 투자를 진행하지 않는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무바달라

Mubadala Investment Company

UAE의 국부펀드. 21년말 기준 자산규모는 2,840억 달러로 아부다비투자청 (8,280억 달러), 두바이투자청(2.020억 달러)로 UAE내에서 3위의 규모이다. 2002년 첨단 기술, 인프라 및 현지 산업 투자와 육성을 위해 무바달라 개발회사(Mubadala Development Company)로 설립되었고, 2017년 1월 아부다비의 주요 국부 펀드인 국제 석유 투자 회사(IPIC)를 합병하여 무바달라 투자 회사(Mubadala Investment Company)로 공식 출범했다. 2018년 2월에는 아부다비 투자 위원회(ADIC)를 합병하여 ADIA와 ICD에 이어 UAE 3대 국부 펀드이자 세계 13위 규모의 대형 국부 펀드로 성장했다.

무바달라는 미주, 유럽, 아시아, 호주 등에서 투자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AMD(IT), CEPSA(석유·가스), Carlyle Group(사모펀드) 등 13개 산업 분야의 30개국 우량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위탁 생산 분야에서 세계 3위인 'Globalfoundries'의 최대 주주로, UAE 내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2013년에는 러시아 국부 펀드인 RDIF와 약 20억 달러를 러시아 산업 분야에 투자하기로 발표했고, 세르비아 정부와 반도체, 재생 에너지, 전기·통신, 항공·우주 등 산업 분야에 공동 투자하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

무바달라는 UAE 내 제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아부다비 정부의 경제 비전 2030에 따라 석유화학(Mubadala Petroleum)과 항공(Strata) 등의 산업 분야에 전략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또한 국내 및 해외 유망 스타트업을 육성·유치하기 위해 'Hub 71'을 론칭하여 향후 10년 동안 100개 이상의 유망 스타트업 유치를 목표로 3억 6,700만 달러를 투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