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basis point
이자율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최소의 단위. 1%는 100bp이고 1bp는 0.01%다. 예컨대 액면 이자율이 10%인 채권이 가격하락으로 실질수익률이 10.5%가 됐을 경우 액면 이자율보다 50bp 높아졌다고 말한다. 담보·채권·어음 등의 산출을 견적할 때 쓰인다. 0.05%이면 5 basis points 또는 5 bps라고 부른다. 실제 금융상품 거래에서는 0.05%라고 부르거나 적는것보다 5bp라고 말하고 기록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국가간 채권 및 리보금리 등 금리변동을 말할 때 대부분 bp를 쓴다. 국제금융시장에서도 자금을 차입하고 대출할 때 사용하는 금리를 런던은행간금리(LIBOR)에 가산금리(주로 bp로 표시)를 더해 정한다. 국제금융시장에서 금리를 BP단위로 계산하는 것은 돈의 수급이 안정된 상태에서 빌리는 측이나 빌려주는 측 서로간에 한푼이라도 이자를 덜 내거나 더받으려는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시장에서 금융기관들이 금리를 1BP라도 더받거나 덜 내려는 경쟁을 가리켜 `BP전쟁"이라고 한다.
vendor
굳이 우리말로 표현하면 ‘물류를 판매하는 도매업’이다. 여러 메이커들로부터 상품을 대량 구입해 소매점들에 필요한 상품을 골고루 한꺼번에 공급해준다. 국내 도매업은 대부분 메이커 산하 대리점 형태로 취급 상품이 한정돼 있으나 이들은 메이커의 구애를 안 받아 다양한 상품을 갖추고 있다. 취급 품목에 따라 냉장 벤더, 냉동 벤더, 잡화 벤더,도시락 벤더 등으로 나뉘어 특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정착된 유통업태이나 국내에는 편의점과 함께 선보이기 시작했다.
venture business
벤처투자기관으로부터 투자받은 금액이 자본금의 10%이상이거나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 또는 중소기업진흥공단의 대출을 순수신용으로 8000만원 이상을 받아 기술성이 우수한 기업으로 확인받은 기업을 일컫는다. 이들 기업은 고도의 전문지식과 새로운 기술, 노하우를 가지고 창조적·모험적 경영을 한다. 지식집약형산업 특히 전자, 정보산업, 디자인, 유통산업 등의 분야에 많이 진출하고 있으며 소수 인원으로 운영돼 수요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고 품목을 다양화할 수 있는 등 대기업이 갖지 못한 장점을 갖고 있다. 반면 자금력이 약하고 신용이 모자라 금융기관들이 대출을 꺼리고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등의 단점도 있다. 이같은 벤처기업을 금융면에서 지원하는 기업을 벤처 캐피털이라고 부른다.
venture capital
창업투자회사의 혹은 모험자본으로 불린다. 새로운 제품 또는 서비스의 연구 · 개발을 위한 새로운 기업의 창립자금이나 신상품 또는 신기술의 기업화 자금을 투자 혹은 융자 등의 형태로 지원하고 그 기업의 성공한 후에 투자원본을 회수하는 동시에 높은 수익을 획득하려고 하는 투자회사로서 위험이 높으며 자본의 제공기간도 장기이다. 따라서 융자를 위주로 하는 기존 금융기관과는 자금외 지원방식, 투자금의 회수방법, 성과보수 및 리스크 등에서 현격한 차이가 있다.
venture fund
여러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벤처기업이나 갓 창업한 기업에 자금을 투자하는 펀드.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는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개인투자자가 벤처기업에 접근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힘들다. 벤처펀드는 바로 이런 개인투자자들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벤처펀드는 에인절클럽과도 비슷하지만 창업투자조합에서 투자자를 공개적으로 모집해 자산을 운영한다는 점에서 에인절클럽과 다르다. 벤처펀드는 비상장기업이나 코스닥시장에 등록되지 않은 벤처기업과 창업기업을 투자대상으로 하고 있다.
benchmark
투자의 성과를 평가할 때 기준이 되는 지표를 말한다. 투자 수익률이 벤치마크보다 높으면 초과 수익을 달성한 것으로 보아 성공적인 투자로 평가한다.
benchmarking
기업들이 주변에서 뛰어나다고 생각되는 상품이나 기술을 배워 자사의 생산방식에 합법적으로 응용하는 것. 다른 우수한 상품들의 기술을 일단 배우고 나서이를 자사 제품생산에 응용, 새로운 생산방식을 재창조한다는 점이 단순한 모방과는 다르다. 미국의 포천지가 ‘쉽게 아이디어를 얻어 새상품 개발로 연결시키는 기법’이라며 벤치마킹이라고 이름 지었다.
floating rate note
지급이자율이 시중실세금리에 따라 변하는 채권. 이자율이 발행 때 고정돼 만기 때까지 유지되는 현행 회사채나 국공채 등 고정금리부채권과 대조적이다. FRN은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확산돼 금리에 대한 장기예측이 어려울 때 금리변동 위험을 최소화(헤지)하기 위해 발행된다. 통상 금리하락기에는 발행자에게 유리하고 금리가 오를 때에는 투자자에게 유리한 측면이 있다. FRN의 이자율은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를합한 것으로 결정된다. 런던이나 홍콩 등 국제금융시장에서 기준이 되는 런던은행간 금리(LIBOR)가 대표적인 기준금리다. 가산금리는 채권발행자의 신용도에 따라 차등화된다.우리나라에서는 1994년 9월부터 FRN 발행이 허용되었다. 기준금리는 양도성예금증서(CD) 3개월을 유통수익률로 하고 가산금리는 회사채의 경우 발행회사의 신용도에 따라 0.1(신용평가등급 AAA)∼0.25% 포인트(신용평가등급 BBB) 등으로 차등된다. FRN 만기는 3년 이상 10년 미만이며 이자는 3개월마다 변화된 이자율로 지급된다.
variable cost
제품을 완성시키기 위해 필요한 직접재료 또는 직접노동과 같은 생산의 양과 직접적으로 변화하는 비용. 고정비의 상대적 개념으로 경영활동의 결과로 발생한다. 변동비는 제조부문과 판매관리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제조부문에는 주요재료비, 보조재료비, 시간당 임금, 수수료, 소모공구비 등이 있고 판매관리부문에는 창고비, 발송비, 광고비,사무용 소모품비, 운임 등이 있다.
floating exchange rate
시장에서의 공급과 수요의 변화에 따라 환율이 변동하는 것. 통화는 한 나라의 경화와 금의 보유량, 국제무역수지,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그리고일반 경제력에 따라 강해지거나 약해진다. 이러한 변동환율의 장점은 국제수지가 적자일 때그 나라의 통화가치가 하락하여 수출경쟁력이 생긴다. 이로 인해 국제수지는 자동적으로 균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신용제한과 외환관리 강화 등과 같은 정책이 불필요하므로 대외균형을 위해 대내균형이 희생되지 않는다. 환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외환보유가 불필요하다.
KB에만 있는 금융콘텐츠
더 많은 콘텐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