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직 차원에서 AI 오케스트레이션을 효과적으로 도입하려면 전략·문화-인프라-파일럿-확산-개선의 흐름으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단계별 접근 로드맵이 필요
○ [①전략 수립 및 목표 정의] 경영진의 적극적인 지원하에 AI 오케스트레이션의 비전과 목표를 명확히 설정
- 비즈니스 전략과 연계한 AI 활용 로드맵을 구축하여 AI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해 어떤 가치(비용 절감, 매출 향상, 고객 만족 등)를 창출할 것인지 정의
- 이때 전사적 핵심 과제 중 AI로 재구상할 도메인과 업무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 예를 들어 은행이라면 대출 심사, 고객 분석, 콜센터 등 파급 효과가 큰 영역부터 AI 오케스트레이션 적용 범위를 설정
- 조직 내 AI 활용 수요 및 업무별 반복성과 데이터 접근성 평가
- AI 오케스트레이션이 필요한 ‘반복적인 지식 기반의 업무’(리스크 리포트 작성, 법규 요약, 고객 FAQ 대응 등) 도출
- 보안, 컴플라이언스, 개인정보 보호 등 기술적ㆍ법적 제약 사항을 진단하고 추후 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성과지표(KPI)를 수립
- AI 오케스트레이션의 도입은 단순 기술 도입이 아닌 업무 방식의 혁신이므로, 초기부터 구성원과 프로세스 측면의 변화관리 계획을 함께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
○ [②데이터 및 기술 인프라 구축] AI 오케스트레이션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인프라와 플랫폼을 구축. 이때 향후 여러 AI 모델과 API를 한데 묶어 관리할 통합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
-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 데이터 정제 및 통합을 통해 조직의 데이터 자산을 활용하기 쉽게 구조화
- 다양한 내외부 데이터 소스가 실시간으로 AI 모델에 공급되도록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자동화하고 AI 모델 학습용 환경을 정비
- 상용 솔루션 도입 혹은 내부 개발 등 목적에 맞는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을 선정
- 보안 및 거버넌스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데이터 암호화, 접근 제어, 로그 감사 등 보안 체계를 인프라 구축 단계에서부터 반영
○ [③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uct, MVP) 구축 및 실험] 앞서 선정된 우선순위 업무 중 하나를 골라 파일럿 프로젝트를 수행
- LLM, 벡터 데이터베이스¹⁷, 검색 API와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조합하고 핵심 기능에 집중한 소규모의 AI 오케스트레이션 환경을 설계
- 예를 들어 콜센터 업무 혁신을 목표로 설정했다면 음성인식 AI, 상담 내용 요약 AI, 상담사 지원 챗봇 등을 오케스트레이션하여 콜센터 AI 어시스턴트를 개발
- 프롬프트 최적화와 워크플로우 단순화 실험을 진행한 후 실사용자 피드백 수집 및 개선을 반복
- 파일럿 프로젝트의 목적은 조기에 가시적인 성공 사례를 만드는 것이므로, 처리 속도 20% 향상 등과 같은 명확한 목표 지표를 정하고 실행 결과를 계량적으로 평가하여 프로젝트의 성과를 입증
- 파일럿 프로젝트 단계에서는 교차기능팀(Cross Function Team)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
- 현업 부서의 도메인 전문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ML 엔지니어, IT 운영 담당자 등이 한팀이 되어 업무 프로세스에 AI를 적용하는 흐름을 함께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