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화. 대전환기, 재정정책의 과제

대전환기, R&D의 중요성과 국가 재정의 역할
23.01.18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 한국경제는 디지털 전환(DX), 그린 전환(GX), 세계경제 질서의 전환(신냉전 체제), 인구 구조의 변화 등의 대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음

◼ 이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3년간 늘어난 국가 재정을 내실화함으로서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과정이 필요했음

○ 주요 선진국들은 2021년 이후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확대된 재정적자를 축소시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 2020년 선진국 기초재정수지(%, GDP 대비)는 -7.2%로 적자폭이 확대됐으나, 2023년–3.7%로 축소 예상(IMF World Economic Outlook)
  • 미국과 영국의 기초재정수지는 2020년 각각 –10.9%와 –8.0%에서 2023년 –5.7%와 –2.4%로 개선

 

○ 국내의 경우에도 2020~2021년 본예산이 평균 9.0% 증가했으나, 2023년 본예산은 5.1% 증가하면서 정상화

 

  • 2023년 통합재정수지(%, GDP 대비)는 2022년 -3.3%에서 2023년 –0.6%로 개선. 특히, 2022∼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2023년 –2.9%) 대비 큰 폭 상승
  • 2023년 국가부채 비율(%, GDP 대비)도 2022년 49.7%에서 2023년 49.8%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으며, 2022∼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2023년 53.1%) 대비 하락

 

◼ 한국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새로운 산업∙기술의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다시 생각해볼 시점임

2화 보러가기보기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