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화. 최근 중국 고용시장의 동향과 특징은?

중국 청년 실업률 급등과 리스크 요인
시리즈 총 5화
2023.07.04

전체 실업률은 정부 억제 목표치 이하로 하락한 반면, 청년 실업률은 높은 수준 지속

○ 중국 실업률은 억제 목표치 이하로 하향 안정화된 반면, 청년 실업률은 상승세 지속

 

  • 중국의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 이후 생산이 정상화되면서 실업률은 정부 억제 목표치 5.5% 이하로 떨어지면서 하향 안정화 추세 
  • 반면 16~24세 청년 실업률은 최초로 발표한¹ 2018년 1월 11.2%를 기록한 후 팬데믹을 거치면서 금년 5월 20.8%로 급증

중국 도시 조사 실업률 변화 추이

2023년 7월 기준으로 '중국 도시 조사 실업률 변화 추이'를 나타낸 차트. '전체 실업률'은 '억제 목표치' 이하로 하향 안정화된 반면, '청년 실업률'은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자료: CEIC

○ 청년 실업률이 장년 실업률에 비해 높은 것은 일반적인 현상임에도 중국은 기타 국가 대비 매우 높은 수준

 

  • 청년 실업률이 25~59세 장년 실업률에 비해 높은 것은 고용주의 경력직 선호 현상과 청년들의 잦은 이직 경향 등에 기인 
    - 고용주 입장에서는 업무 경험이 없는 신입 직원보다 경력 직원을 선호하기 때문에 경기 침체기에는 특히 노동시장 신규 진입 계층들이 일자리를 찾기 어려움
    -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들은 아직 직업관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아 경력 개발 방향을 부단히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직이 잦은 경향이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중국의 청년 실업률은 장년 실업률의 4.2배에 달하며, 이는 경제협력 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인 2.6배를 크게 상회 

¹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하는 실업률 통계에는 분기마다 발표하는 ‘등록실업률(Registered Unemployment Rate)’ 과 매달 발표하는 ‘조사실업률(Surveyed Unemployment Rate)’이 있음. 등록실업률은 중국 노동부 산하 기관에 등록된 실업자를 대상으로 집계되는데, 여기에 등록하려면 ▲비농업호구인 자 ▲남자 16~50세, 여자 16~45세인 자 ▲노동 능력을 가진 자 ▲실업보험에 가입하고 납부 기간이 1년 이상인 자 등 네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함. 따라 서 비농업호구가 아닌 농민공(농촌을 떠나 도시에서 일하는 노동자)과 실업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대졸자가 등록 대 상에서 제외되어 실제 실업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반면에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조사실업률은 호적 유무, 신고 여부와 상관없이 16세 이상 상주인구를 대상으로 ‘실업 기준 제정-표본 추출-전반적 실업률 추산’ 등의 절차에 따라 집계되기 때문에 훨씬 과학적이고 사실에 가까운 수치로 평가되고 있음 

이정진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연구역

중국 거시경제와 금융시장을 연구해왔습니다. 경제동향 및 리스크 분석 자료를 발표합니다.

이정진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