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땅’에 들어서며
모로코(Morocco)는 이국적 신비로 가득한 나라다. 생소한데 묘하게 이방인의 호기심을 동하게 한다. 아프리카에 속하지만 유럽적 색채가 진하고, 북아프리카, 특히 마그레브 토착 유목민 베르베르인의 발자취를 품은 문화와 이슬람교를 기반으로 한 정체성은 모자이크처럼 다채로운 매력을 배가한다.
그 가운데 마라케시(Marrakesh)는 가장 모로코다운 도시로 알려졌다. 베르베르어로 ‘신의 땅’이란 의미를 지닐 만큼 모로코의 역사와 문화, 예술이 집약된 천년 고도다. 모로코라는 국명도 마라케시의 영어 발음에서 유래했을 정도다. 고층 빌딩이 즐비한 신시가지가 비교적 낯익은 풍경이라면, 거대한 붉은 성벽으로 둘러싸인 구시가지 메디나(Medina)는 낯설지만 고풍스럽고 강렬한 멋이 넘친다. 그곳엔 과거의 흔적이 촘촘히 얽히고설켜 하나의 소우주를 이룬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마라케시 메디나는 출입문이 20개나 있을 만큼 방대하다. 모로코의 전통 가옥인 리아드와 전통시장(수크), 이슬람 사원 모스크가 비좁은 붉은 담벼락을 따라 미로처럼 이어진다. 마라케시의 영혼 격인 유서 깊은 제마 엘프나(Jemaa el Fna) 광장과 전통 가옥을 개조한 으리으리한 호텔과 카페 역시 보물 같은 존재다.
안타깝게도 2023년 지진으로 메디나 일부가 무너져 피해를 입었지만, 여전히 현지인과 관광객으로 북새통을 이룬다. 오후가 되면 혼잡도가 극심해져 택시 기사들은 메디나 출입문과 멀찍이 떨어진 곳에 손님을 툭 내려놓기 일쑤다. 이때, 한눈에도 여행자임을 알아본 몇몇 사람이 숙소까지 길을 안내하겠다며 말을 걸어온다.
모로코에서 이유 없이 가이드를 자처하는 이는 십중팔구 팁을 얻기 위함이다. 이럴 때는 알고도 모른 척, 빠르게 자리를 피하는 것이 최선이다. 시장에서 물건을 사거나 택시를 타기 전에도 흥정은 필수다. 적당히 속는 셈 치고 눈치껏 흥정하는 요령을 터득할 때쯤 비로소 모로코의 매력이 편하게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