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주택시장 리뷰 2025년 2월호 - 전세가격

시리즈 총 7화
2025.02.13

읽는시간 4

0

수도권은 상승세가 둔화되고 비수도권은 하락 전환

■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상승폭은 크게 둔화

◯ 1월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01% 상승하며 지난해 5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

  • 수도권(+0.07%)은 상승세가 둔화되고 비수도권은 하락 전환하면서(5개광역시 -0.03%, 기타지방 -0.05%) 전국적으로 상승폭이 크게 축소


◯ 수도권은 전 지역에서 상승세가 둔화되고, 비수도권은 광주(-0.01%)·충남(-0.10%)·경북(-0.10%)·제주(-0.03%)에서 하락 전환

지역별 주택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추이

22년 1월 부터 25년 1월까지 전국,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의 '주택전세가격지수'의 흐름을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KB국민은행

지역별 주택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24년 12월과 25년 1월 '주택전세가격지수' 변동률을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등 구분해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KB국민은행

■ 전세 수요자의 아파트 선호 현상이 지속되며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17개월 연속 상승세

◯ 1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02%, 2023년 8월 이후 17개월 누적 3.15% 상승

  • 수도권(+0.09%)은 상승세가 지속된 반면, 5개광역시(-0.004%)와 기타지방(-0.07%)은 하락


◯ 전세가격전망지수는 지난해 12월 이후 2개월 연속 ‘하락 전망’이 우세

지역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24년 11월, 24년 12월, 25년 1월을 기준으로 전국,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의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을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KB국민은행

지역별 전세가격전망지수 추이

22년 1월부터 25년 1월까지 '전국', '수도권', 5개광역시, 기타지방의 '주택 전세가격전망지수'의 흐름을 그래프로 정리하였다.

자료: KB국민은행

부동산연구팀

KB경영연구소

부동산연구팀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