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의 대량, 연쇄 도산에 대응하여 대규모 지원책 활용
- 초기에는 단기 효과가 큰 세제 혜택(양도소득세 5년 한시 감면)과 금융 지원(생애최초주택구입자 자금 지원) 정책, 후반으로 갈수록 신도시 건설 등 공급 정책으로 무게가 이동
- 대부분의 정책을 포괄하여 규제를 완화하고 물량 확대 및 경기 진작을 위한 지원 정책을 실시함.
읽는시간 4분
[IMF] 건설경기 활성화 → 임대차 안정으로
자료: 외환∙금융위기이후 주택 정책의 시장 파급효과 분석 연구, 2000, 국토연구원, 임재현, 2008, 주택정책론, 부연사 기초로 재작성 함.
[IMF] 직접 지원 수단 적극 활용
외환위기 당시 수단별 정책
자료: 코로나19 부동산 경기 대응TF, 2020, 코로나19 사태의 부동산경기 파급효과 및 대응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금융위기] 유동성 지원→경제 활성화→거래 정상화 및 임대차 안정
자료: 발표된 보도 자료 저자 정리.
[금융위기] 소폭의 잦은정책 대응→시장에 영향 미치기 어려워
금융 위기 당시 수단별 정책
자료: 코로나19 부동산경기 대응 TF, 2020, 코로나19 사태의 부동산 경기 파급효과 및 대응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금융] 당면문제: 고금리+ 고물가+ 저성장
[금융] 당면 과제, 유동성 공급으로 대응 中
자료: 각 부처 보도 자료
[정책방향] 2023년 경제정책 방향 → 부동산 시장 연착륙
1. 다주택자 역할 강화
- 세제(취득세, 양도세) 완화, 대출 규제 완화
2. 실수요자 규재 개선 및 주거부담 완화
- 실거주 및 전매제한 완화, 대출 규제 완화
- 공시가격 정상화 부동산시장
- 특례 보금자리론 시행 연착륙
3. 정비사업 규제개선 등 공급기반 위축 방지
- 안전진단 합리화, 공급속도 조절
- 공급자 금융 지원
4. 임대차시장의 구조적 안정화 도모
- 매입 민간등록임대 복원
자료: 기획재정부, 2022, 2023년 경제 정책방향 보도 자료
부동산시장 연착륙 ▼
2023년 국토부 부동산 부문
자료: 국토교통부, 2023, 1, 3, 2023 핵심 추진 과제 보도자료
[분양] 사업주체 지분 투입 확대시켜야
[사례] 美 임대주택 대출 프로그램, 사업자 지분 참여 강제
DUS 프로그램에서의 시장 참여자 역할
자료: 허윤경, 2020, “미국 GSE의 임대주택 자금지원 정책 사례”, 주거 복지 해외에 길을 묻다, pp. 97-117.
연체율
자료: Fannie Mae, 2019, Celebrating 30 Years of the Fannie Mae Delegated Underwriting & Servicing (DUS®) Program
[전세] 전세와 월세의 정책 균형점 모색
[임대] 민간 임대주택사업 육성➔시장 안정 + 산업 선진화
등록 민간 임대주택의 순기능
주택사업(사업자, 수요자)의 본질 → 매규모 자금이 투입된, 장기 사업
정책의 장기적 안정성(변동성 축소)
주 : “허윤경, 2022, 주택시장 진단과 정책대응, 한국주택협회/한국건설산업연구원 공동 세미나”의 내용을 기초로 수정∙보완함.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