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美 연방준비제도(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정책금리 빅컷(연 5.25~5.50%→4.75~5.00%)이 있었지만, 올해 남은 FOMC 일정 2회(11/8, 12/19) 중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 전망은 점차 톤 다운되는 모양새입니다.
美 연준 의장이 단계적 금리 인하가 적절하다는 입장표명에 이어 Fed 매파 인사들은 연일 신중한 금리인하 필요성을 어필 중입니다. 최근 미국의 경제 연착륙 기대가 커지는 등 예상보다 견조한 경제지표가 발표되고 있어 인하 속도가 시장 예상보다 느려질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10월 11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시장 예상대로 첫 금리 인하를 0.25%p 단행했죠. 이제 시장 관심은 한은 금통위 회의 잔여 일정(11/28)에 추가 금리인하가 가능할지 여부에 쏠리고 있습니다.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6%까지 낮아졌고, 내수부진에 대한 우려도 계속되고 있어 금리 인하에 대한 당위성은 아직 유효합니다. 그러나 금주 들어 美 금리 인하의 장기완화론이 부상하면서 국내 기준금리도 속도조절에 들어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현 시장은 긴 관점에서 강세요인이 우위지만, 짧은 관점에서는 약세요인이 병행합니다. 강세요인은 ①통화정책 완화, ②수도권 아파트 공급부족, ③똘똘한 한 채 수요 증폭, ④유동성 증가 속에 교통ㆍ학군ㆍ개발호재 순환매입니다. 약세요인은 ①금리인하를 압도하는 대출규제효과, ②단기급등에 따른 피로감, ③양극화로 비인기지역 정체, ④실수요자 매수역량 한계입니다.
결국 서울 인기ㆍ비인기지역 간 차별화, 수도권ㆍ지방 간 양극화로 시장 레벨업에 제약이 있고, 실수요자 위주의 매매로 투자수요 유입에 한계를 보이는 상황입니다.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거됐지만, 전국적 상승동조화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서울ㆍ수도권 장기회복과 인기지역 급등세로 경계성 매물이 출회되면서 시장은 숨 고르기 중입니다. 아직 강세요인 영향으로 매도 희망가격이 하방경직을 보이지만, 상승 피로감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매수심리는 위축될 수 있죠.
결국 현금 여유층의 매수력 소진 시 바통을 이을 투자층이 활성화되려면 신뢰성 있는 경기회복이 필수입니다. 든든한 경제성장 뒤에 부동산자산의 건강한 확장이 따라올 수 있음을 시장이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