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방준비제도(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9월 정책금리 빅컷(연 5.25~5.50%→4.75~5.00%) 이후 11월 행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올해 FOMC 일정은 2회(11/8, 12/19) 남아 있지만, 추가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해 시장 전망은 신중론이 대세입니다.
美 연준 의장이 단계적 금리 인하를 표명한데 이어 Fed 매파 인사들은 조심스러운 금리인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한편 美 경제에 대한 연구기관 관측이 종전 하드랜딩(경착륙)에서 소프트랜딩(연착륙)을 지나 이제 노랜딩(호황기) 평가로 모아지고 있습니다.
10월 한은 금통위가 첫 금리 인하를 0.25%p 단행 후 11월 28일 올해 마지막 금리 결정에 대한 시장 관심이 큽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월 1.6%까지 낮아졌고, 내수부진 우려도 남아 있는 터라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한 당위성은 충분합니다.
다만 美 금리 인하 완화론이 부상하면서 가계부채와 부동산가격 안정을 위한 금리 속도조절 가능성이 회자되고 있습니다. 반면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 자회사 무디스 애널리틱스는 3분기 한국경제(GDP) 성장 부진으로 목표 2.4% 달성을 위한 추가 인하 필요성을 우회적으로 표명했습니다.
3분기까지 한국경제는 수출 모멘텀이 약화됐고, 반도체 사이클 변동성이 위험요인으로 부상하는 등 내수회복 정책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한은의 '10월 소비자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0월 주택가격 전망지수는 116으로 전월대비 3p 하락했습니다.
장기평균선 107을 상회했지만, 9개월 만에 하락 전환함에 따라 1년 뒤 집값 상승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심리가 정점을 찍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만약 부동산 급등세가 좀 더 안정을 찾는다면 추가 기준금리 인하에 힘입은 내수 촉진 기회도 빨라질 것으로 관측됩니다.
통화정책 전환기에 부동산은 강세요인이 약세요인보다 우위를 점할 것입니다. 최근 금리인하를 압도하는 대출규제효과로 실수요자 매수역량이 위축됐고, 서울 아파트 단기급등에 따른 피로감으로 조정국면에 대비할 필요가 있겠죠. 다만 길게 보면 완화적 통화정책이 투자와 소비를 촉진시켜 경제 상승과 자산가격 회복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통화정책과 금융환경 간 투자환경 다이버전스 현상(divergence, 이탈)은 지금보다 유연해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부동산자산의 건강한 성장을 담보하는 든든한 경제성장과 현금 여유층의 바통을 이을 투자층의 재무안정성 확보가 아닐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