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경제·금융시장 연계성 높아져…기업 신용위험 대비해야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금융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시기에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 대해 실행된 금융지원이 올해 9월 종료된다는 논란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불확실성이 큰 시기에 작은 충격에도 경제 주체가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만큼 과도한 우려는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융위원회는 1일 금융감독원과 국책 및 민간 연구기관 전문가 등과 함께 금융시장 현안 점검 및 소통 회의를 개최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9월 만기 연장·상환유예 지원 종료 논란과 관련해 세부 내용이 충분히 알려지지 못한 데서 비롯한 불필요한 논란"이라며 "만기 연장은 2025년 9월까지 자동 연장되고, 상환유예 차주에 대해선 상환계획서에 따라 최장 1년 거치 후 5년 분할 상환을 지원해 질서 있는 연착륙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당국이 차주의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채무 문제를 순차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만큼 위기설 등 과도한 우려는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향후 거시경제 여건과 위험 요인, 주요 기간산업의 업종별 현황 및 전망 등에 대해서도 참석자들과 의견을 나눴다.
참석자들은 미국과 유로존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기가 개선되고, 하반기 이후 국내 경제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미국의 긴축 장기화, 중국 경제 부진 등 하방 요인이 존재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기업의 잠재 리스크가 누적되는 등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았다.
금융당국은 경기 불확실성 시기에 가짜뉴스 및 허위 정보 등이 시장을 교란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수시로 시장과 소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금융당국은 코로나19 이후 불확실성이 높은 경제 상황이 지속하면서 기업이 순항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금융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올해부터 정부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정책금융지원협의회를 구성해 금융지원 체계를 구성했고, 국가 전략산업에 대한 지원 집중 및 수출지원대책을 통해 금융의 실물경제 지원 역량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기업의 직접금융시장 참여 확대 등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간 상호연계성이 높아지는 만큼 주요 산업의 영업환경과 재무 상황을 적시에 파악하고 신용위험이 높은 기업에 대해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금감원 등 관계기관이 기업 신용위험 모니터링에 빈틈없는 대응 태세를 갖춰달라"고 당부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3.9.1 [금융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sylee3@yna.co.kr
이수용
sylee3@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