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류 가격 8월 말부터 둔화…근원물가 상승률 전월과 같은 수준"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5일 "국제 유가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지만 전반적인 물가 둔화 흐름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일시적 요인들이 완화되면서 10월 이후부터는 물가가 다시 안정화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3.4% 오르면서 전월(2.3%)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다만,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와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각각 3.3%와 3.9%로 전월과 같았다.
김 차관은 "7월 중순부터 큰 폭으로 상승한 국제유가가 시차를 두고 국내에 반영됐다"며 "호우·폭염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등 일시적 요인이 더해지면서 8월 물가가 상승한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국제유가는 8월 중순 이후로는 80달러대 중후반에서 등락 중"이라며 "이에 따라 국내 석유류 가격도 8월 말부터는 상승세가 둔화된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농산물 가격도 기상 여건이 개선되면서 점차 안정화되고 있다"며 "그동안 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이었던 서비스 물가 상승률 둔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차관은 "정부는 각별한 경각심을 갖고 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추석 민생안정 대책 실행 계획, 정보보호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 주요 경제법안 입법 계획 등도 논의했다.
wchoi@yna.co.kr
최욱
wchoi@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