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국내 기업 처음으로 미국 해상 탄소저장소 개발에 참여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최근 미국 텍사스주 토지관리국이 주관하는 탄소포집저장(CCS)사업 국제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스페인 렙솔, 미국 카본버트, 일본 미쓰이 미국법인 등 글로벌 에너지기업과 컨소시엄으로 참여했으며,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지분은 10%이다.
사업대상 지역은 텍사스 코퍼스 크리스티 인근 해상 578㎢로 서울시 면적과 유사한 수준이다. 컨소시엄은 저장소 평가를 진행 후 개발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개발 시에는 시추, 플랫폼과 해저파이프라인 설치를 거쳐 수십년간 저장소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저장 가능한 탄소 용량은 6억t 이상으로 예상되며, 이는 우리나라의 연간 탄소 배출량에 달하는 규모이다.
텍사스 연안은 수많은 지질 데이터가 축적된 지역으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CCS를 활용해 탄소를 감축하는 기업에 t당 최대 85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산업적으로도 텍사스 연안은 발전소를 비롯해 시멘트, 석화, 가스 정제 등 다양한 배출원이 밀집되어 있으며 이미 다수의 유가스 파이프라인이 조성돼 있어 탄소 포집이 용이하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올해 초 포스코에너지와 합병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의 하나로 CCS사업을 적극 추진해 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달 중 미국에 신규 회사를 설립하고, 향후 이번 사업 외에도 추가적인 CCS사업도 본격 추진해 글로벌 탄소 중립 이행에 기여하겠다는 목표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글로벌 탄소감축 및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친환경 포트폴리오의 지속적인 확대 및 포스코그룹의 2050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출처:포스코인터내셔널]
yglee2@yna.co.kr
이윤구
yglee2@yna.co.kr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