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원금 보장 방식 구체화 필요"
(서울=연합인포맥스) 서영태 기자 = 고객 자금을 회사채나 기업 대출에 활용하는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이 8년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관련 제도가 여전히 미비해 자기자본 요건을 갖춘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IMA 사업자로 지정받기까진 다소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위원회·금감원·증권사가 만나 IMA와 관련해 의견을 교환했다. 당국은 IMA 상품 운용 방안을 아직 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IMA 상품은 금융투자회사가 원금을 보장하면서 운용하는 게 중요하다"며 "이 부분이 아직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IMA는 정부가 증권사의 대형화와 명실상부한 투자은행(IB)화를 유도하고자 2016년 8월에 제시한 유인책이다. 발행어음과 달리 한도가 없어 자금조달에 유리하다. 다만 증권사는 고객 수탁금 중 70%를 기업금융 관련 자산으로 운용하며 원금을 보장해야 한다.
상품 구조가 문제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시중은행의 정기예금처럼 원금을 보장하면서도 매력적인 수익률로 고객 자금을 끌어들이려는 게 모순적이라는 이야기다. 증권사가 손실에 따른 위험을 고려해 고객 자금을 보수적으로 운용하면 IMA의 투자 매력과 기업금융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기존에 설계한 제도와 관련해 더 살펴볼 필요가 있는지 혹은 그대로 진행해도 되는지 검토해야 한다"며 "아직은 (증권사의) 구체적인 신청이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수년 전에 일찌감치 자기자본 요건인 8조원을 달성한 미래에셋증권은 첫 번째 IMA 사업자 타이틀을 노리고 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당국의 정책 흐름에 맞춰 검토하는 단계"라며 "제도가 완비되면 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첫 번째란 타이틀도 중요하다"며 "앞서가는 증권사끼리 동시에 사업을 시작하거나 미래에셋증권이 먼저 시작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올해 상반기에 자기자본 요건을 채운 한국투자증권은 신중한 분위기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내부 검토만 하고 있다"며 "아직 정해지지 않은 부분이 많아 여러 가지를 보는 듯하다"고 말했다.
ytseo@yna.co.kr
서영태
ytseo@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