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뉴욕 마켓 브리핑](9월7일)

23.09.07
읽는시간 0

*9월6일(현지시간)

-뉴욕증시 : 다우 0.57%↓ S&P500 0.70%↓ 나스닥 1.06%↓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거래일 3시 기준보다 2.90bp 상승한 4.293%

-달러화 : 엔화와 유로화에 약보합. 달러 지수는 0.05% 상승한 104.848

-WTI : 0.85달러(0.98%) 상승한 배럴당 87.54달러

*시황요약

△ 뉴욕증시는 유가 급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지속 우려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길어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면서 하락.

미 국채수익률 상승으로 기술주 하락이 눈길을 끌어. 엔비디아와 애플이 3% 이상 하락했고, 테슬라는 1%대 약세를 기록. 아마존닷컴도 1% 이상 하락.

'밈 주식'으로 알려진 AMC의 주가는 30% 이상 폭락. AMC는 자금 조달을 위해 최대 4천만주를 매각할 계획이라고 밝혀.

△ 미국 국채 가격은 혼조세를 기록. 유가 급등세로 인플레이션 경계심이 유지된 데다 미국 경제지표가 견조한 양상을 보이면서 10년물 미 국채수익률과 2년물 국채수익률은 상승.

달러화 가치는 소폭 하락. 미국 국채 수익률이 다시 뜀박질을 시작한 가운데 경기둔화를 예고하는 베이지북 등의 파장이 맞선 영향.

*데일리 포커스

-연준 베이지북 '7~8월 완만한 성장…펜트업 수요 마지막'

연준은 경기 평가 보고서인 9월 베이지북에서 "대부분의 지역에서 7~8월 경제 성장세가 완만해졌다(modest)"고 평가.

연준은 "관광에 대한 소비지출이 예상보다 강했는데 이는 팬데믹 시대에 억눌렸던(펜트업) 수요의 마지막 단계로 여겨진다"고 언급.

또 "일부 지역에서 소비자들이 저축액을 모두 소진했으며, 지출을 위해 대출에 더 많이 의존하고 있다는 보고를 했다"고 강조.

임금 상승률이 높았지만 많은 지역 관계자들이 하반기에는 달라질 것이라고 봤다고 언급.

-샌프란 연은 '급격한 금리인상, 12년간 성장둔화 초래할 수도'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이코노미스트들과 앨런 테일러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캠퍼스 교수는 한 연구에서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이 12년 동안 생산량을 낮추는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망.

이들은 "금리가 1% 상승하면 12년 후 생산량이 약 5% 낮아질 수 있다"며 "생산량 추세가 5% 감소하면 개인 소득은 현재 가치로 평균 3천달러 감소한다"고 분석.

다른 분석에서도 1% 금리 인상은 12년 후 총요소생산성(TFP)이 약 3% 낮아지고, 자본은 약 4% 줄어든다고 추정.

이들은 "통화정책이 종종 경제에 일시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경제의 장기적인 경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1900년 이후 대규모 국가 경제 데이터를 분석하면 긴축적 통화정책이 10년 후에도 잠재적인 생산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

-보스턴 연은 총재 "신중하게 움직일 수 있는 여건"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한 연설에서 "전체적으로, 우리는 불확실한 경제 여건 속 신중하게 움직일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고 언급.

또 콜린스 총재는 연준이 금리의 고점에 근접하거나 혹은 이미 고점에 있을 수도 있다고 판단.

그러나 이후 발표되는 경제 지표에 따라 추가 인상이 필요할지 여부를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부언.

콜린스 총재는 인플레이션에 관련된 좋은 소식이 나왔다면서도 "꾸준히 강한 수요를 고려하면 아직 인플레이션이 2%로 되돌아가고 있다는 입장을 취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는 것이 나의 견해"라고 언급.

*아시아 시간대 주요 지표

▲N/A 중국 8월 무역수지

▲0830 일본 7월 가계지출

▲1500 독일 7월 산업생산

*미국 지표/기업 실적

▲2130 미국 Q2 생산성·단위노동비용

▲0445 미국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연설

▲0555 미국 미셸 보우먼 연준 이사 패널 참석

문정현

문정현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