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최정우 "한·호주, 핵심광물·수소 등 미래지향적 협력 도약"

23.09.08
읽는시간 0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한국과 호주 경제협력위원회가 8일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에서 제44차 연례 회의를 개최했다.

[출처:포스코그룹]

한국에서 열린 것은 지난 2018년 부산에서 열린 이후 5년 만이다.

이날 회의에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한·호 경협위 위원장),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한·호주 의원친선협회 회장), 배상근 전국경제인연합회 전무를 비롯해 GS건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양국 정·재계 인사 약 200여명이 참석했다.

최정우 한-호 경협위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한국과 호주는 오랜 동반자 관계를 넘어 핵심광물을 비롯해 수소경제 등 새로운 협력분야를 활발히 만들어 나가고 있다"며 "양국은 자원개발부터 원료생산에 이르는 밸류체인 협력과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첨단기술 연구, 국가안보, 친환경소재 등 양국의 주요 산업 모든 분야에서 미래지향적 협력을 통해 글로벌 무대에 함께 도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로저 쿡 서호주 주총리도 특별사를 통해 "포스코그룹이 추진 중인 HBI, 이차전지소재, 수소사업 분야에서 서호주와 한국 기업들의 협력관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경협위에서는 한·호 협력을 통한 혁신적 미래 탐색을 주제로 연구·산업 협력, 핵심광물, 방위·항공우주, 식품 및 바이오, 청정에너지(수소) 등 5개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한국과학기술평가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기관에서 호주와 연구·개발(R&D) 분야 협업확대와 탈탄소 핵심기술인 CCS(탄소 포집 및 저장) 협업 등 넷제로 전환의 핵심 파트너로서 호주와 협업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호주 특수기계 제작 및 솔루션 기업인 ANCA,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포스코인터내셔널, 롯데상사 등이 양국의 방산 분야 협력을 비롯해 글로벌 식량시장에서 호주의 중요성과 식량사업 비전 등을 발표했다.

호주는 수소,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비롯해 철광석, 석탄뿐 아니라 리튬, 희토류 등 핵심광물 공급망의 중요한 파트너 국가다.

한국과의 무역 규모가 지난해 기준 636억8천200만달러에 달하고 한국의 호주 투자 규모도 14억9천4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9년 대비 2배씩 늘어난 수치다.

지난 1979년 첫 회의를 개최한 한·호 경협위는 2018년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경협위 한국 측 위원장을 맡은 이후 리튬·이차전지소재, 수소, 그린스틸, 방위산업 등 미래산업으로 점진적 확대를 도모해왔다.

최 회장은 현지 자원개발의 핵심지역인 서호주 주총리 및 주요 핵심광물 기업 CEO(최고경영자)들과 긴밀한 협업관계를 구축하며 양국의 경제·산업 협력에 앞장서고 있다.

최정우 위원장(왼쪽)과 로저 쿡 서호주 주총리

[출처:포스코그룹]

yglee2@yna.co.kr

이윤구

이윤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