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자료 화면
(서울=연합인포맥스) 김경림 기자 = 이틀 만에 252조원이 허공으로 날아갔다. 중국 정부의 '아이폰 금지령' 이후 증발한 애플의 시가 총액이다.
11일 연합인포맥스(화면번호 7219)에 따르면 애플 주가는 중국 정부가 지난 6일(현지 시간) 중앙 정부 공무원들에게 아이폰 사용 금지령을 내린 이후 곤두박질쳤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애플 주가는 지난 7일 기준 전일 대비 2.92% 하락한 177.56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앞서 6일에는 3.6% 내렸다. 총 2거래일간 날아간 시가총액은 1천897억 달러, 약 252조원에 이른다. 우리나라 국방부 예산의 4배가 넘는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중앙정부 기관 공무원들에게 업무용 기기로 애플 아이폰을 비롯해 외국 브랜드의 제품을 사용하지 말라고 명령했다. 기존에는 일부 정부 기관 공무원 한정으로 아이폰 사용을 제한했으나, 이번 조치로 범위가 더 넓어진 것이다.
애플이 이번 중국 정부의 결정을 더 아프게 느끼는 이유는 몇 달 전 회사 대표가 보낸 열렬한 러브콜 때문이다.
지난 3월 애플의 팀 쿡 최고경영책임자(CEO)는 미국 기업인으로는 이례적으로 중국을 방문했다.
팀 쿡 CEO는 중국에서 3년 만에 개최되는 중국판 다보스포럼인 '중국개발포럼'에 참석해 "애플과 중국은 함께 성장했다"며 "이것은 일종의 공생 관계라고 할 수 있다"고 공표한 바 있다.
쿡 CEO는 심지어 중국에서 창립 30주년을 기념하기도 했으며, "이보다 더 흥분될 수 없다"고 전하기도 했다.
애플에 중국은 최대 판매국이자 최대 생산국이기도 하다. 전체 매출의 19%가 중국에서 발생한다. 또 중국 공장에서 생산 차질이 생기면 이는 바로 실적으로 연결된다.
이른바 '폭스콘 사태'가 대표적이다. 아이폰 60%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중국 정저우시의 폭스콘 공장은 지난해 11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통제로 폐쇄된 바 있다. 폭스콘 폐쇄 후 실제로 연말 아이폰14 제품의 배송이 지연, 애플의 분기별 매출은 3년 반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중앙 정부 부처에서 아이폰 사용이 금지되면, 중국의 아이폰 판매량의 1%에 해당하는 44만대가 감소할 것"이라며 "국영기업까지 확대하면 200만대, 4%까지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다만, 애플이 중국에서 아이폰을 현지 생산하면서 창출하는 일자리만 700만개다"며 "중국 실업률 급증과 부진한 내수 경기를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부연했다.
klkim@yna.co.kr
김경림
klkim@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