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지연 기자 = 미국 정부 부채가 33조달러에 달하지만,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미국 경제매체 CNBC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정부부채는 지난 2001년부터 증가세를 이어왔으며, 지난 20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서는 89% 급증했다.
하지만 매체는 많은 부채가 꼭 나쁜 것만은 아니라며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진단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부채 규모의 적절성을 따질 때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을 고려해야 한다며 현재 미국의 경우 GDP 대비 부채비율이 100%에 육박한다고 진단했다.
크리스 미체너 산타클라라 대학교의 경제학 교수는 "부채는 여러 가지 유용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며 "공공부채는 항상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됐고, 현재 세대에게 세금을 더 부담시키는 것보다는 부채를 늘리는 게 더 쉽다"고 설명했다.
로리 에스포시토 머레이 콘퍼런스보드 경제발전 위원회 회장은 "부채는 사회간접자본같이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사업을 시작할 수 있게 해줘 경제에 도움이 된다"면서도 "다만, GDP 대비 부채비율은 부채 규모가 지속 가능한지 판단하는 지표기 때문에 항상 신경 써야 한다"고 진단했다.
일각에서는 무분별한 부채 사용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피터 G. 피터슨재단의 마이클 피터슨 창립자는 "부채가 얼마만큼, 어디에 쓰이는지가 중요하다"며 "불행히도 지금은 비 오는 날이나 해가 쨍쨍한 날이나 모두 부채를 쓰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근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상으로 미국 정부의 부채 부담이 더욱 커졌지만, 이것이 경제에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스토니브룩 대학의 스테파니 켈튼 경제학 교수는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서 채권 보유자들에게 수십억 달러의 이자가 지급됐다"며 "국채를 보유한 사람들은 이자소득을 다른 형태의 소득처럼 소비에 사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jykim@yna.co.kr
김지연
jykim@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