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서영태 기자 = 부동산금융 부실 속 자본확충에 나선 BNK투자증권이 BNK금융지주에 신종자본증권을 매각하면서도 자금조달 비용을 크게 낮추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시장에선 자회사가 모회사의 지원을 받으면서 자금조달 비용을 지나치게 낮출 경우 감독당국으로부터 지적을 받을 수 있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BNK투자증권 측은 회계법인을 통해 적정한 금리를 정했다고 설명했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BNK투자증권은 이자율 7.036%인 '국내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채권형 신종자본증권'의 발행을 지난 8일 결정했다. 사모발행 대상자는 모회사인 BNK금융지주다.
발행으로 조달하는 금액은 1천억원 규모로 만기일은 30년이다. 중도상환옵션(콜옵션)이 붙은 채권으로 발행일로부터 5년이 지나면 상환이 가능하다.
신종자본증권이란 주식과 채권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는 증권으로 기업의 자본확충을 목적으로 발행된다.
2년 전 유상증자로 자본을 확충했던 BNK투자증권이 첫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며 또다시 자본을 확충하는 이유는 부동산PF 손실 흡수력 때문이다.
BNK투자증권은 지난 5월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부동산PF 우발부채 현실화 및 자산건전성 저하가 나타났다"고 평가받았다. 당시 나신평은 BNK투자증권 장기신용등급 등급전망을 '긍정적'에서 '안정적'으로 낮췄다. 신용등급은 A+로 유지했다.
신용등급 'A+'인 BNK투자증권이 곤경에 빠지자 'AAA'인 BNK금융지주가 구원투수로 나섰다. 이달 BNK금융지주도 5년 콜옵션이 붙은 1천5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는데, 모회사가 시장에서 돈을 빌려 자회사에 다시 꿔주는 모양새다. 일각에선 BNK투자증권이 BNK금융지주의 높은 신용도를 활용해 자금조달 비용을 낮출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BNK금융지주와 신용등급이 같은 우리금융지주의 경우 지난달 말 5년 콜옵션 신종자본증권의 발행금리를 5.04%로 확정했다. BNK금융지주도 비슷한 발행금리를 확정할 경우 자회사 BNK투자증권에 대한 자금 지원으로 연 2%가량의 금리차익을 얻게 된다. 역으로 BNK투자증권은 자금조달 비용을 2%가량 낮출 기회를 활용하지 않고, 모회사에 7.036%의 이자를 지급하는 셈이다.
시장에선 BNK투자증권과 BNK금융지주가 당국을 의식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한 신용평가업계 관계자는 "지주회사에서 발행물량을 가져가면 금리가 낮아야 하는 게 일견 맞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모회사가 자회사의 신종자본증권을 인수하는 상황에서 금리가 너무 낮으면 시중금리를 반영하는 게 바람직하지 않겠냐는 목소리가 감독당국에서 나올 수 있다"며 "예전에도 그런 경우가 왕왕 있었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터무니없이 낮은 금리로 발행하면 지주사가 지나치게 노골적으로 계열사를 지원한다고 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BNK투자증권은 외부 용역으로 금리를 정했다고 말했다.
BNK투자증권 고위 관계자는 "(모회사와) 자체적으로 협의한 금리가 아니라 회계법인 용역을 통해서 적정한 금리를 받았다"다고 설명했다.
그는 "회계법인에서 최근 발행 내역을 바탕으로 계산했으며, 계열사 간 조심스러운 거래이기에 자체적인 진행은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ytseo@yna.co.kr
서영태
ytseo@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