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세계 최대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가 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재생에너지 발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탄소중립위원회는 12일 기자회견을 갖고 "용인 클러스터에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6기가 신설되고 강원, 경북의 여유전력이 공급된다고 하지만 RE100, 탄소국경조정제도 전면화에 대비한 재생에너지 공급 계획은 사실상 없었다"고 지적했다.
정부와 반도체 업계에선 기업의 투자가 마무리되는 2050년에는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에 약 10GW 이상의 전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수도권 전체 전력 수요의 4분의 1에 해당할 정도로 막대한 규모다.
정부와 한전은 우선 수소를 섞어 태울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산업단지 안에 건설해 산단 조성 초기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산단 내 태양광 설비용량은 70MW로 용인 클러스터 수요의 1% 수준이다.
위원회는 "수도권에 용인 클러스터뿐 아니라 데이터센터가 몰려 있어 수도권 전력난이 더 심화될 것"이라며 "반도체 공장이 가동될 때쯤에는 RE100 의무화 확대 및 탄소국경조정제도가 본격화되어 화석연료기반의 반도체산업의 수출경쟁력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용인 클러스터 내 LNG복합화력발전소 6기 신설 계획을 취소하고 RE100 의무화 및 탄소국경조정제도 전면화에 대비해 용인 클러스터 내 재생에너지 공급계획을 수립하라"고 요구했다.
또 "분산에너지와 국가균형발전을 고려해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지방으로 첨단산업입지를 적극 검토"할 것을 주문했다.
hjlee2@yna.co.kr
이효지
hjlee2@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