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빈일자리 해소방안 10월 발표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진우 기자 =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13일 "청년의 원활한 노동시장 진입 지원을 위한 정책을 논의하고, 필요시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일자리 전담반(TF) 회의에서 "타 연령 대비 청년층 고용둔화가 지속하고 있고, 올해 들어 '쉬었음' 등 청년 비경제활동인구도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지난 8월 기준 단순히 쉬고 있는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은 약 40만명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저성과 사업을 구조조정하고 재정지출을 효율화해 내년에는 청년 일자리 정책에 중점 투자할 방침이다.
새롭게 노동시장에 진입한 청년이 조기에 퇴직해 니트(NEET)화하는 것을 예방하고, 취업 초기 청년의 직장 적응을 전문기관을 통해 지원할 예정이다.
김 차관은 산업현장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빈 일자리 해소방안도 내달 발표할 예정이다.
김 차관은 "지난 7월에는 뿌리산업을 중심으로 빈 일자리 수가 전년 동월 대비 1만3천명 감소하는 등 일부 성과도 나타났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도 "일부 지역은 인구 유출과 고령화, 노후화된 산업기반 등으로 인력난이 장기화, 고착화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김 차관은 "정부는 지역별 빈 일자리 해소방안을 구체화해 향후 지방자치단체 협의 등을 거쳐 10월 중 관련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jwchoi@yna.co.kr
최진우
jwchoi@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