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사 주주환원책 자율성 일관되게 보장할 것"
해외 투자자, 부동산 시장 연착륙 여부·가계부채 대응 관심↑
(런던=연합인포맥스) 이현정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규제로 발목 잡히는 일이 없도록 규제 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해외 투자자들에 약속했다.
특히 국내 금융회사의 고질적인 저평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주주환원 정책의 자율성을 '일관되게' 보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13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로얄 랭캐스터 호텔에서 열린 런던 투자설명회(IR)에서 해외 투자자들과의 현장 질의응답을 통해 이 같은 정책 과제들을 설명했다.
이날 투자자와의 대화에는 이 원장을 비롯해 강철원 서울시 정무부시장, 안병윤 부산시 행정부시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 박종문 삼성생명보험 사장, 원종규 코리안리재보험 대표이사가 참석해 투자자들의 질문에 직접 답했다.
질의에 나선 투자자들은 한국 주식시장에서 은행·보험 등 금융주가 저평가되어있는 데 대한 금융당국의 견해와 대응계획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 원장은 "한국 금융주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지나치게 낮다고 문제점을 갖고 있다"면서 "투자자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자본확충 능력이 어느 정도의 수준 되는 것을 전제하에 배당 등 주주 친화 정책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시장 친화적인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잠재적 투자자들이 배당 여부와 배당액을 먼저 알고 투자할 수 있도록 배당제도를 개선하는 한편, 자금 이동 등과 관련한 국내 규제를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춰 완화하는 등 규제도 손보겠다"고 언급했다.
그는 "국내은행의 BIS비율이 절대적으로 나쁜 수준이 아니지만, CET1(보통주자본비율) 등이 국제적 기준으로 볼 때 좀 낮은 수준"이라며 " CET1를 중점 타깃으로 경기대응완충자본 도입 등 자본 관련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할 수 있게 하겠다"고 부연했다.
이 원장은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도 적극 소개했다.
이 원장은 "해외 투자자들이 투자자 등록 제도, 사전 신고 제도 등 번거로움으로 투자를 꺼리게 되는데 이런 규제를 전면 폐지하는 등 투자자의 부담을 줄이겠다"면서 "외국인의 외환시장 참여 확대 등 외환시장 선진화 방안을 통해 시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은 최근 국내 금융권의 최대 이슈인 부동산시장 연착륙과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중단 등 각종 정책에 대한 궁금증도 가감 없이 쏟아냈다.
이 원장은 "과거 오랜 기간 팽창적 정책을 하다 보니 부동산시장 붐이 있었고 급격한 가격 상승을 겪은 이후, 지난해부터 금리 상승으로 부동산 시장이 급락하는 상황이 오게 됐다"면서 "지난해부터 부동산 관련 금융규제 대폭 완화를 통해 부동산 시장과의 균형을 찾는 과정에서 가계부채가 급속하게 팽창했다"고 지난 경과를 자세히 설명했다.
이어 "현재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해 가계대출 축소 정책을 펼치는 상황으로 3~4년 이내 GDP 대비 가계대출 비율을 현재 103%에서 90%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목표"라며 "이 과정에서 부작용이 있겠지만, 관계부처가 협업해 가계대출을 줄이면서도 부동산을 안정화하는 궤도를 찾아가는 단계다"고 답했다.
해외 대체투자 리스크에 대해서도 이 원장은 "한국의 금융사들의 해외부동산 투자 규모는 전체 자산 대비 1% 남짓에 불과해 실제로는 우리 금융회사나 시스템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면서 "대부분의 만기가 수년에 걸쳐 퍼져있어서 손실 흡수 대비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2021년 이후 해외투자 건전성 가이드라인 만들어 위험이 집중되는 부분은 선제 관리를 해왔기에 해외투자가 직접적인 리스크는 아닌 것 같다"며 "오히려 현재 여건이 나쁜 상황에서 이 정도 감내할 수 있으면 해외투자 포지션을 더 늘릴 수 있지 않나"고 되묻기도 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에서 5번째)과 국내 금융회사 대표이사들이 13일(현지시각) 영국 런던에서 열린 K-금융 IR 행사에서 투자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hjlee@yna.co.kr
이현정
hjlee@yna.co.kr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