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포브스 "인플레, 다시 상승할 것…연준, 금리 계속 올려야"
-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할 수 있다며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를 계속 올려야 한다고 포브스가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매체는 미국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3.7%로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음을 상기시키며 "거시 경제가 견조한것을 고려했을 때 연준의 금리 인상 중단을 논의하기에 아직 이르다"고 진단했다.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25일 잭슨홀 회의에서 "연준의 일은 인플레이션을 2% 목표치로 내리는 것이고, 이것이 달성될 때까지 계속해나가겠다"고 언급했다. 매체는 "연준이 시장을 교란하는 것이 아니다"며 파월 의장이 이보다 더 직접적으로 연준의 목표를 설명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인플레이션 노동시장과 총수요 등 여러 분야에서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선 노동시장에서는 임금 상승률이 전체적인 물가에 상승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25
▲'채권왕' 그로스 "주식 투자자들, 금리 상승 영향 간과하고 있어"
- 세계 최대 채권운용사 핌코의 공동 창립자 빌 그로스는 투자자들이 국채 금리의 급격한 상승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악영향을 간과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14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BI)에 따르면 그로스는 최근 팟캐스트에 출연해 "주식시장은 국채 금리 상승에 현재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굉장히 부정적 영향을 받는데, 시장에서는 이를 인지하지 않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5년물 국채금리는 지난18개월간 2.1%에서 4.4%로 급등했다. 이 기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7%에서 4% 이하로 하락했다. 그로스는 이러한 놀라운 금리 상승세는 주식의 상대적 매력을 떨어트리고, 투자자들은 오히려 채권을 통해 무위험의 안정적 수익률을 올릴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로스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조만간 인플레이션과의전쟁을 끝내고,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시장의 기대에 대해서도 찬물을 끼얹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16
▲도어대시, 뉴욕증권거래소서 나스닥으로 이전상장…27일부터 거래
- 온라인 식품 배송업체 도어대시(NYS:DASH)가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나스닥으로 이전 상장한다. 14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도어대시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나스닥으로의 이전상장을 통해 선도하는 기술 기업들의커뮤니티에 합류하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도어대시는 나스닥으로 이전 상장해오는 27일부터 거래를 시작한다. 뉴욕증시는 지난 몇 년간 기술기업들을 유치하기위해 노력해왔지만, 나스닥에는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다. 플로리다 대학교의 제이 리터가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1983~2022년 사이 나스닥에 상장한 기술 기업은 7천개에 달했지만, 뉴욕증시에는 1천400개만 상장됐다. 도어대시의 이전상장은 2021년 이후 둔화했던 기술주 IPO가 다시 활발해질 조짐을 보이는 것이라고 매체는 평가했다. 전일 상장한 반도체 설계기업 암(NAS:ARM)도 상장 첫날 주가가 20% 넘게 폭등했고, 미국의 장보기 앱 인스타카트와 소프트웨어 기업 클라비요 등도 지난달 상장 예비 심사를 청구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35
▲S&P500 선물, FOMC 대기 속 암 강세에 강보합
- 15일 아시아 시장에서 미국 주가지수 선물은 다음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대기하는 가운데 간밤 상장한 영국 반도체설계업체 '암(NAS:ARM)'의 강세에 강보합권에서 등락했다. 연합인포맥스 지수선물 통합화면(화면번호 6520)에 따르면 한국 시각으로 이날 오전 10시 29분 기준 E-Mini S&P500 선물은 전장 대비 0.06% 상승한 4,557.75에, E-Mini 나스닥 100 선물은 전장보다 0.04% 오른 15,679.00에 각각 거래됐다. 지수 선물은 시간 외 거래에서 암 주가가 7% 가까이 뛰면서 상승 압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암은 전일 상장하며 정규장에서 25% 가까이 상승했다. 암 주가는 시초가 51달러에서 63.59달러로 장을 마쳤다. 다만, FOMC를 앞둔 경계심에 상승 폭은 크지 않았다. 미국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계절조정기준 전월보다 0.7% 상승해 시장 예상치 0.4%를 웃돌며 미국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한 것으로 평가됐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44
▲피델리티 헤드 "美 증시 랠리, 황혼기에 접어들었다"
- 올해 미국 증시의 강력한 랠리가 '황혼기'에 접어들었다고 피델리티인베스트먼트의 글로벌 매크로 부문 디렉터가 주장했다. 14일(현지시각)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피델리티의 주리언 티머 글로벌 매크로 디렉터 겸 총괄은 자신의 링크드인 페이지에 "지속돼 왔던 주식 강세장은 이제 황혼기에 접어들었다는 점이 나타난다"며 "앞으로 몇 년간 우리는 가격 조정의 아픔을 겪으면서 두 자릿수보다는 한 자릿수 수익률을 가정하는 게 안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티머는 채권금리가오르는 것이 주식시장에 가장 치명적인 위협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2년물 국채금리가 지난 2년간 약 480bp나 뛰었고 10년물 국채금리 또한 같은 기간 약 400bp나 급등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과 싸우기 위해 급격히 기준금리를 올린 결과물이다. 티머는 "장기물 채권수익률이 계속 오른다면 이는 기업의 실적과 상관없이 주가에 타격을 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36
▲레이 달리오 "장기채권, 좋은 투자처 아냐…美국채 과부하에 매도 압력"
- 억만장자 투자자이자 헤지펀드 거물인 레이 달리오 브릿지워터 어소시에이츠 설립자가 채권 장기물 투자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내놨다. 수급상 매도 압력이 커질 수 있다며, 단기적으로 현금 보유가 가장 좋다고 진단했다. 14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BI)에 따르면 레이 달리오는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10차 밀켄 연구소 아시아 서밋에서 "미국 재무부는 연방 적자가 누적되면서 막대한 규모의 채권을 팔아야 한다"며 "이러한 상황은 세계적인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투자자들이 충분히 높은 실질 금리를 받지 못한다면, 채권을 매도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달리오는 "채권시장의 수급 불균형이 단순히 신규 채권의 규모 때문만은 아니다"며 "채권을 팔기로 결정하는가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개인적으로 장기채권은 좋은 투자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채권 매도가 현실화했을 때 금리가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이는 통화당국이 직면하는 어려운 과제라고 판단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04
▲PER로 본 Arm 주가…'하루 만에 25% 뛸만한가' 적정성 논란
- 영국 반도체 기업 Arm(암)(NAS:ARM)이 나스닥 데뷔에서 그야말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하루 만에 주가가 25%나 뛰며 기업가치를 크게 높였기 때문이다. 가격 적정성 논란이 바로 뒤따라온다. 최근 기록한 수익 대비 주가가 이례적으로 높은 점이 지적된다. 반면, AI(인공지능)가 촉발한 투자 붐과 업계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도 제기된다. CNBC는 14일(현지시간) Arm이 지난 네 분기 동안 4억달러의 이익을 본 부분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환산한 주가수익비율(PER)은 170배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엔비디아(NAS:NVDA)의 후행 PER인 109배를 넘어서는 수준이라고 매체는 설명했다. 엔비디아의 주가는 올해 들어 3배 이상으로 뛰었고,S&P500에서 가장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미국 30대 반도체 기업의 PER인21배도 Arm이 대폭 웃돌고 있다. 이익 규모뿐만 아니라 기업의 성장세에서도 차이가 있다고 매체는 소개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29
▲美 국채금리, 亞시장서 하락…지표 여파 되돌림
- 15일 아시아 시장에서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하고 있다. 소매판매와 생산자물가지수(PPI) 등 경제지표의 여파로 상승한 부분을 되돌리는 모습이다. 연합인포맥스 해외금리(화면번호 6531)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13분 현재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전장 대비 1.47bp 하락한 4.2815%에 거래됐다. 같은 시각 2년물 금리는 0.02bp 내린 5.0070%, 30년물 금리는 0.24bp 내린 4.3831%에 거래됐다. 간밤 미국채 금리는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10년물을 기준으로 3.68bp가 높아졌다. 소매판매와 PPI가 견조한 영향을 받았다. 미 노동부는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계절 조정 기준 전월보다 0.7%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이코노미스트 예상치인 0.4% 상승을 웃돈다. 지난해 6월 이후 최고 상승률이기도 하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8월 미국의 소매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보다 0.6% 늘어난 6천976억달러로 집계됐다. 시장의 예상치(0.1%)를 대폭 넘어섰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38
▲'부자아빠' 저자 "에어비앤비, 부동산 붕괴 촉발할 것"
-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로 잘 알려진 로버트 기요사키가 에어비앤비(NAS:ABNB)가 부동산 시장 붕괴를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4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기요사키는 최근 '엑스(X, 구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단기 임대 시장 침체가 부동산 폭락의 발판이 될 수 있다"며 이같이우려했다. 그는 "에어비앤비가 실제 시장 붕괴를 이끌 것"이라며 "부자가 되기에 가장 좋은 시기는 시장 폭락기"라고 덧붙였다. 최근 뉴욕시는 에어비앤비 소유주가 집을 30일 미만 임대할 경우 뉴욕시에 개인정보와 렌트 수익, 계좌 정보 등을의무적으로 신고하도록 하는 단기숙박공유 규제 조례를 통과시켰다. 뉴욕시는 이를 근거로 관광세와 판매세, 호텔세 등을 부과하게 되며 해당 규제를 시행하기 시작한 후 며칠 만에 임대 가능한 숙소 수는 70%나 급감했다. 이는 단기 임대 시장에서 수익 감소 또는 주요 도시의 규제 강화로 인해 에어비앤비 소유주가 부동산을 매각하게 되는 '에어비앤비 버스트' 우려를 재점화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07
▲中 부양책에 주택 판매 '일단' 반등…"대도시 매물 증가"
- 중국 정부의 시장 부양책에 따라 중국 주택 판매 반등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고 15일 차이신글로벌이 보도했다. 최근 중국 주요 은행들이 기존 주택담보대출금리를 인하한 가운데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시 등 중국의 1선 도시 4곳에서 주택 매물이 쏟아지고 있다. 중국 부동산 정보 포털 주거(Zhuge) 닷컴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일부터 10일까지 1선 도시의 기존 주택 신규 매물 수는 전주 대비 43% 증가한 7만9천541채로 집계됐다. 시장의 총 기존 주택 재고는 올해 최고치인 80만1천915채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에서 가장 집값이 비싼 대도시인 베이징과 상하이의 증가폭은 더욱 두드러져 같은 기간 베이징의 기존 주택 신규 매물은 전주 대비 약 58% 증가한 3만5천66채, 상하이의 신규 매물은 68% 이상 급증한 2만9천851채였다. 활성 매물 증가는 다른 주택 지표에도 반영됐다. 판매자의 매도 호가 조정을 반영하는 주간 지표인 센터라인(Centaline) 주택 소유자 확산 지수는 지난 11일 베이징에서 42.47로 지난달 28일의 26.83에 비해 상승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30
▲"고금리 오래 유지돼도 증시 강세 꺾이지 않을 것"
- BMO캐피탈은 금리가 더 높게 더 오래(higher for longer) 유지되는 기간에도 현재 증시 강세는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15일(현지시간) 마켓인사이더에 따르면 BMO캐피탈의 브라이언 벨스키 선임 투자 전략가는 1979년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역사적 분석에 근거해 "주식시장이 고금리 시기에 양호한 성과를 냈다"고 주장했다. 그는 2009년부터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위해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작년 이전까지는 금리가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에 있었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일부 투자자들은 고금리를 불편하게 여긴다고 언급했다. 다만 벨스키 전략가는 "고금리 기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더 나은 위험 조정 수익을 냈다"고 말했다. 그는 "(고금리 기간 증시의) 수익률은 평균을 약간 밑도는 경향이 있고 흥미롭게도 금리가 낮을 때보다 변동성이다소 작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분석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15
▲"OPEC, IEA 화석연료 수요 정점 전망 타당하지 않아"
-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화석연료 수요가 2030년 전에 정점을 찍을 것이라는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전망을 비판했다. 14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OPEC은 성명을 통해 "이 같은 내러티브는 극도로 위험하고 타당하지 않으며 이념에 의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12일 IEA는 화석연료 시대의 끝이 시작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기후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 화석연료 소비가 줄어들면서 석탄, 석유, 가스 수요가 모두 2030년 전에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비롤 사무총장은 수요 감소 전망을 역사적 전환점이라고 칭하면서도 예상되는 감소 폭으로는 지구 온도를 산업화 이전 수준에서 1.5도 오른 수준으로 제한하는 경로에 결코 다다를 수 없다고 덧붙였다. CNBC는 비롤 사무총장의 발언은 오는 10월 발표될 예정인 IEA의 영향력 있는 세계 에너지 전망 보고서를 근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31
▲中 부동산 업체 위안양, 역외 달러 채권 거래 정지
-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인 위안양그룹(遠洋·시노오션)이 달러화 표시 증권 거래를 중단했다고 15일 다우존스가 보도했다. 15일부터 홍콩증권거래소(HKEX)에서 위안양의 역외 채권 8종의 거래가 정지된다. 거래가 중단된 채권의 만기는2024년부터 2030년에 이른다. 위안양은 이날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을 고려해 전체적인 채무 재구성과 연장 해결책이 시행되기 전까지 모든 역외 부채에 대한 상환금 지불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안양은 "은행, 채권자 및 금융기관을 포함한 관련 이해 관계자들과 관계된 역외 부채의 만기를 연장하거나 재구성하기 위해계속해 사전대책을 강구하는 방향으로 협상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우존스는 중국 부동산 시장에 계속된 압박이 위안양의 부채 상환 능력에도 영향을 미쳤다고설명했다. 위안양은 "2023년부터 업계의 판매 및 자금조달 환경이 눈에 띄게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위안양그룹은 급격한 분양 판매액 감소와 자산처분 불확실성 증가, 다양한 자금조달 활동에서의 계속된 제약을 경험했다"고 언급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34
▲中 8월 신규주택가격 전년비 0.55%↓…전월치 0.57%↓(상보)
- 중국의 8월 신규 주택 가격이 두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15일 다우존스에 따르면 중국의 8월 신규 주택 평균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0.55% 하락했다. 앞서 지난 7월에는 0.57% 하락한 바 있다. 8월에 주요 70개 중국 도시 중 전년 대비 주택 가격이 하락한 도시는 44개로 전월과 동일했다. 전월 대비 주택 가격이 하락한 도시는 70개 도시 중 52곳이었다. 지난 7월에는 49개 도시에서 전월 대비 주택 가격이 떨어졌다. 한편 중국의 8월 신규주택 평균 가격은 전월 대비로는 0.29% 떨어졌다. 전월치는 0.23% 하락이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145
권하연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