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C 펀드 외부출자 50%까지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진우 기자 = 정부가 5년간 2조2천억원을 투자해 국가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를 육성한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 경제장관회의에서 이러한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육성방안'을 제시했다.
추 부총리는 "클러스터 산업시설 구역에 법률·회계·벤처캐피탈 등 사업지원 서비스 기업이 입주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올해 안으로 신속히 개정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해 일반지주회사가 보유한 기업형 벤처캐피탈(CVC)의 외부 출자 비율을 현행 40%에서 50%로, 해외투자 허용 비율을 20%에서 30%로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첨단기술 분야 외국인 투자기업 등에 대한 지원도 내년 2천억원 규모로 확대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추 부총리는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조세특례제한법상 국가전략 기술 범위에 바이오의약품 관련 핵심기술 8개를 추가해 올해 하반기 투자분부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고 소개했다.
추 부총리는 "보스턴-코리아 프로젝트에 내년 864억원을 지원해 미국 보스턴 지역 우수 대학·연구소 등과 혁신 기술 개발, 의사 과학자 양성 등 협력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중소 제조업의 디지털 역량 고도화 방안도 내놨다.
그는 "내년 중소기업 1천100개사, 2027년 5천개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제조공정 혁신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추 부총리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는 자율형 공장, 여러 공장을 연결해 공정을 최적화하는 '디지털 협업공장' 등 한층 더 고도화된 생산시설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위성통신 활성화 전략도 설명했다.
추 부총리는 "도시 항공교통(UAM), 자율운항 선박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위성통신 핵심기술에 대한 R&D 지원을 강화하고 통신과 항법 보정 등에 활용할 복합 통신위성 '천리안 3호'를 2027년까지 개발할 것"이라고 했다.
jwchoi@yna.co.kr
최진우
jwchoi@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