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필중 기자 =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회장은 한국투자증권이 종합투자계좌(IMA) 사업 인가 조건을 충족한 만큼, 그룹 차원에서 추가 자본을 투입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또한, 대체투자와 관련해서는 전문 운용사 인수·합병(M&A)보다는 직접 투자를 통해 기회를 찾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18일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채용설명회 이후 추가 자본 조달 여부를 물은 질문에 "현재 (한국투자증권이) 발행어음 기준은 달성해 그게 된다면 더할 나위 없지만, 이를 위해 자본을 추가하기보다는 좀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곳을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
IMA란 증권사가 고객에게 예탁받은 자금을 통합해 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 계좌를 말한다. 이를 통해 증권사는 고객 자금을 바탕으로 회사채나 기업 대출에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한투증권은 요건인 자기자본 8조 원을 넘어선 상황이다.
대체투자 관련 사업에서는 여전히 기회가 많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회장은 "유가증권시장은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를 누구나 가질 수 있게 돼 초과수익을 낼 여지가 크게 줄었다"면서 "대체투자 시장은 정보 접근성에 한계가 있는 시장이다. 인프라도 개인의 돈만으로는 투자하기 너무나 큰 규모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이 과거와는 다른 길을 걷게 돼 저희로서는 많은 기회가 생길 것"이라면서 "이 부분은 상당히 힘을 쏟고 있다"고 했다.
대체투자와 관련해서는 운용사 인수보다는 직접 투자를 통해 기회를 엿보겠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기본적으로 우리 그룹은 고객에게 나은 투자 기회를 만들어드리는 게 미션"이라면서 "우리도 충분히 글로벌 네트워크 가지고 있고 열심히 공부하고 있어 운용사 인수보다는 직접 하는 게 낫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법인과 관련해서는 지역 특성에 맞게 접근하겠다는 방침이다.
김 회장은 "같은 동남아라 해도 베트남, 인도네시아 모델은 다르다"며 "베트남은 중산층이 많아져 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많은 반면, 인도네시아는 자원을 바탕으로 성장해 부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들로 나뉜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지역별로 투자하고자 하는 건 그 지역 특성에 맞게 차별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증권사 차액결제거래(CFD) 재개 여부와 관련해서는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joongjp@yna.co.kr
정필중
joongjp@yna.co.kr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