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 SK㈜]
(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SK㈜의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자회사 SK팜테코가 미국 세포·유전자치료제(CGT) CDMO인 CBM을 인수하고,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합성의약품과 세포·유전자 치료제를 아우르는 공급망을 완성했다.
SK㈜는 SK팜테코를 통해 CBM 경영권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SK팜테코는 지난해 1월 미국 내 바이오 사업 강화를 위해 CBM에 3억5천만달러(약 4천200억원)를 투자했으며, 당시 확보한 추가 투자 권리를 이번에 행사해 경영권을 확보했다.
SK팜테코는 CBM의 2대 주주에서 1대 주주로 올라섰다.
SK팜테코는 CBM 인수로 전세계 의약품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유럽 양대 시장에서 합성의약품과 세포·유전자 치료제 모두를 아우르는 현지 공급망을 완성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유럽에서 두 의약품 분야의 공정 개발·상업 생산이 모두 가능한 CDMO는 SK팜테코 외 세계적으로 5개 정도에 불과하다.
CBM은 세포·유전자 치료제 단일 생산시설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인 6만5천㎡의 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현재 이 중 약 2만8천㎡를 완공해 바이럴 벡터(치료 DNA를 바이러스에 삽입 후 인체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바이러스 기반 유전자 전달체) 우수 의약품 제조·관리 기준(GMP) 시설과 개발·분석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다.
오는 2024년 세포치료제와 세포·유전자치료제 원료인 플라스미드 GMP 생산시설 구축을 앞두고 있어 플라스미드부터 바이럴 벡터, 세포치료제 등 완제품까지의 개발·생산·분석 등 전 과정을 한 곳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시장조사업체 이밸류에이트파마에 따르면 세포·유전자 치료제 분야는 2021년 약 74억7천만달러(약 10조원) 규모에서 2026년 약 555억9천만달러(약 74조원) 규모로 연평균 약 49%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SK팜테코는 2021년 인수한 프랑스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이포스케시와의 통합 운영을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포스케시는 지난 6월 제2공장을 완공하고 유럽 최대 수준인 총 1만㎡ 규모의 시설을 갖췄다.
mrlee@yna.co.kr
이미란
mrlee@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