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추경호 "단기금리, 기준금리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종합)

23.09.21
읽는시간 0

"30조 회사채·CP 유동성 공급조치로 시장 안정 조치"

"고금리 예금 만기도래發 금융권 자금확보 경쟁 점검"

"부동산PF 연착륙 질서있게 진행…리스크 점차 완화"

"FOMC 결과,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정부·한은 공조"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진우 기자 =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한국은행이 단기시장금리가 기준금리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공개시장 운용을 통해 시중 유동성을 적절히 관리할 것"이라고 했다.

추 부총리는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 거시경제금융 회의에서 "시중 유동성 상황을 세심하게 모니터링하고 은행 유동성 규제를 유연하게 검토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추 부총리는 "필요한 경우 회사채·CP(기업어음) 매입 프로그램 등 30조원 이상 남아있는 유동성 공급 조치 여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시장 안정 조치를 적절하게 시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4분기 고금리 예금 만기도래 등에 따른 금융권의 과도한 자금 확보 경쟁이 재발하지 않도록 일일 유동성 점검체계를 가동하는 한편, 금융권과 소통을 바탕으로 선제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추 부총리는 최근 금융·외환시장에 대해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외국인 국내 증권 투자가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고, 환율도 주요국 대비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주식·채권시장도 대체로 양호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고금리 장기화와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정부와 한은은 한층 더 높은 경계감을 갖고 상황별 대응계획을 시행할 예정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와 관련해선, "연착륙이 질서 있게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최근 PF 대출 연체율 상승세가 크게 둔화하고 리스크가 점차 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소상공인 대출의 경우 전체 대상 채무가 당초 100조원에서 76조원으로 감소하는 등 연착륙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소개했다.

추 부총리는 "만기 연장도 2025년 9월까지 지원되고, 상환 유예는 2028년 9월까지 최대 5년간 분할 상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9월 자영업자 대란설은 전혀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간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가 정책금리를 동결한 데 대해서도 설명했다.

추 부총리는 "연내 추가 금리 인상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언급하고, 인플레가 둔화할 때까지 제약적 수준을 유지할 것임을 강조했다"고 분석했다.

추 부총리는 "글로벌 금융시장은 이번 FOMC 결정을 매파적으로 해석하면서 주가는 하락하고 금리와 달러 인덱스는 상승했다"고 했다.

그는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이 한층 높아짐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상존해, 정부와 한은은 각별한 경계감을 갖고 빈틈없이 공조 하에 긴밀히 대응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jwchoi@yna.co.kr

최진우

최진우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