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필중 기자 = 부산시의 디지털자산거래소 계획안이 공개됐다. 원자재부터 토큰증권까지 다양한 자산을 아우를 예정이며, 연내 법인을 출범할 계획이다.
21일 부산시는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12월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 추진위원회'를 발족한 뒤 추진위의 자문 의견을 토대로 이번 방안을 마련했다.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거래소다. 이를 통해 거래소 보안 강화는 물론 운영 비용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고 시 측은 밝혔다.
이번 디지털자산거래소는 순수 민간 자본으로 설립될 예정이다. 내달 중순부터 공모 절차 거쳐 11월 중 사업자를 선정해 연내 법인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자산을 다룰 계획이다. 원자재, 귀금속, 지적재산권(IP), 탄소배출권 등을 토큰화할 뿐만 아니라 토큰 증권까지 자산을 점차 넓힐 예정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블록체인 부산 비전은 2030부산세계박람회의 한 축이 될 것"이라면서 "그간 패스트 팔로워 전략으로 선진국을 뒤쫓던 대한민국이 블록체인 분야에서만큼은 퍼스트 무버가 되어 세계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야심 찬 비전이며, 디지털 대전환 흐름에 맞춰 부산시가 진정한 글로벌 금융 허브로 거듭나겠다는 원대한 청사진"이라고 말했다.
김상민 추진위원장은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써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등 전 세계가 관련 생태계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패권 전쟁 중"이라면서 "결국 모든 가치 있는 자산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토큰화되어 거래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부산에 블록체인 기반의 분권형 공정·통합거래소 모델을 만들어 전 세계 표준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joongjp@yna.co.kr
정필중
joongjp@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