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금리 연고점③] 당국, 자금시장 선제대응…중장기물 관리는 '글쎄'

23.09.22
읽는시간 0

(서울=연합인포맥스) 오진우 기자 = 정부와 통화당국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적인 스탠스 등으로 국내 금리가 연고점을 경신하는 것을 보며 경계 태세를 높였다.

당국은 유동성 규제 속도조절 방침을 밝힘과 함께 단기자금시장의 자금공급 등으로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섰다.

다만 해외 흐름에 연동한 중장기 금리의 상승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것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금리의 상승이 최근 급증하고 있는 가계부채의 관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인식도 읽힌다.

◇'강원ABCP 사태' 아픈 기억…선제대응 나선 당국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등 정부는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을 내년 초까지 현 95%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당국은 지난 6월 LCR 비율을 95%로 올린 데 이어 내년 초 97.5%, 내년 중순 100% 등으로 점진적으로 정상화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단기 자금 시장이 불안 조짐을 보이자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발 빠르게 조치를 내놨다.

통화당국인 한은도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한은은 콜금리가 기준금리를 상회하는 등 자금시장이 타이트해지기 시작한 이달 초부터 RP매입을 수시로 진행하고 있다.

한은은 또 추석 연휴를 앞둔 다음주 중에도 RP매입으로 은행들의 부담을 들어주겠다고 선제적으로 밝힌 상황이다.

지난해 강원도ABCP 사태 등으로 자금시장이 급속히 얼어붙었던 경험이 당국을 재촉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상황은 지난해보다는 양호하다는 게 중론이긴 하지만, 연준의 매파 스탠스 강화 등을 고려하면 향후 상황 전개를 예단하기 어렵다는 점도 선제 대응의 배경이다.

연준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점도표 상 내년 말 예상 정책금리를 기존보다 50bp나 올렸다. 상당기간 금리 인하를 기대하지 말라는 신호를 보낸 만큼, 내년 '피벗'을 기대했던 채권 매수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는 상황이다.

또 4분기 금융권의 고금리 예금 예치 경쟁 재발 우려와 투자기관의 북클로징 등으로 채권시장의 자금이 마를 수 있다는 점도 우려 요인이다.

◇자금시장 대응 한정…중장기 금리 상승은 'not bad'

당국의 조치는 하지만 단기자금시장의 유동성 관리에 한정되는 양상이다.

주요 기간물 국고채 금리가 일제히 연고점을 뚫고 올라섰지만, 이를 관리할 필요성은 아직 없다는 것이 당국의 평가다.

시장 일각에서 한은의 단순매입이나 정부의 바이백 등의 중장기 금리 상승에 대한 대응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시각도 있지만, 한은은 이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단순매입 등의 조치를 고려할 상황은 아니다"면서 "시중의 금리 상승은 연준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변화 등에 따른 것이지, 국내에서 갑작스러운 문제가 발생한 것도 아니고 상승세도 점진적이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도 전일 발표한 9월 국채발행 계획 등에서 바이백 등 중장기 금리 안정화 조치에 대해 이전과 다른 변화를 주지는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예정된 연간 바이백 한도 내에서 월별 물량 조정이나 긴급 바이백 실시 등의 수단이 있긴 하지만, 그럴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중장기 시장금리의 상승이 최근 문제가 되는 가계부채의 재증가를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굳이 이를 막아설 필요가 있느냐는 인식도 있다.

한은의 다른 관계자는 "연준 통화정책 기대에 대한 변화 등으로 시장의 금리가 자연스럽게 상승한다면 대출금리도 오르면서 대출 증가세가 잦아들 수 있다는 면도 있다"고 말했다.

국제유가의 큰 폭 상승으로 통화당국의 커뮤니케이션이 조금 더 매파적으로 변해야 하는 상황인 점도 최근 시중 금리의 상승이 저어되지만은 않는 이유다.

유상대 한은 부총재보는 전일 FOMC 이후 시장상황점검회의에서 "특히 최근의 국제유가 오름세가 추가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은행

[연합뉴스TV 제공]

jwoh@yna.co.kr

오진우

오진우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