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오전 주요 국제금융뉴스] (22일)

23.09.22
읽는시간 0

CCI와 UMICS 간 스프레드 추이

[출처: 미시간대, 콘퍼런스보드, NBER]

▲"美 침체 임박…소비심리지표 스프레드 축소"

- 미국의 소비자심리를 나타내는 두 지표 간 스프레드가 축소되기 시작하면서경기 침체가 임박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마켓워치에 기술 분석을 기고하는 마크헐버트는 21일(현지시간) 칼럼을 통해 콘퍼런스보드의 소비자신뢰지수(CCI)와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UMICS) 간의 스프레드를 주목하며 이같이 분석했다. 헐버트는 "1979년 이후 두 지수의 월별 데이터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이 스프레드가 크게 확대됐다가 축소되기 시작할 때마다 경기 침체가 임박했다"며 "현재 이러한 전제 조건이 충족됐다"고 말했다. 헐버트의 기술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49.3%포인트까지 확대되었던 스프레드는 현재 36.6%포인트로 12.7%포인트가 좁혀진 상태다. 1979년부터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까지 다섯 번의 경기 침체 이전 두 지수간 스프레드는 평균적으로 9.7%포인트 하락했다. 헐버트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해당 지표를 언급하진 않았으나 소위 '연착륙'에 대한 이전 예측에서 다소 후퇴한 것처럼 보였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93

▲더 높게 오래 지속되는 美 금리가 미치는 경제 영향은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달 통화정책 회의에서 진정으로 시장에 전달하고 싶었던 메시지는 장기 금리 궤적이 투자자들이 지난 20년 동안 감당해야 했던 것보다 더 높을 것이라는 점이다. 이는 채권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주식시장의 이탈이 끝나지 않을 것임을시사한다. 21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이달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직후 전문가들은 연준이 금리가 훨씬 더 오랫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실질 금리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를 재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임무였다"고 말했다. 높은 수준의 장기금리를 더 오래 지속하려는 이유는 경제 성장 속도를 늦추기 위해 돈을 더 비싸게 만들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유는 연준이 실업률을 낮은 수준에서 유지하고 인플레이션이 성장에 거의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목표치인 2%로 서서히 내려갈 수 있다고 예상하기 때문이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35

▲BofA "美 달러 골든크로스, 4분기 더 강해질 수도"

- 미국 달러화가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며 강세를 나타낸 가운데 오는 4분기에는 더 강해질수도 있다는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전망이 나왔다. 21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BofA의 폴 시아나 기술 전략가는 "달러화 지수가 지난 3월 9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50일 이동평균선이 20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는 골든크로스를 나타냈다"며 "이는 일반적으로 향후 몇 달 동안 달러 가치를 더 상승하게 한다"고 전했다. 은행은 이 같은 골든크로스가 오는 4분기 잠재적으로 더 강한 달러화에대한 은행의 기술적 관점을 뒷받침한다며 이 신호는 20~80거래일 후 더 높은 달러 지수를 의미한다고 전했다. 최근 달러 가치 상승 폭은 연준과 관련이 있다. 연준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올해 한 번 더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신호를 보냈으며 내년 인하 전망은 낮췄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50

▲美 10년물 금리, 亞 장중 4.5% 돌파…긴축 장기화 우려(상보)

- 22일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장중 4.5%를 돌파하며 아시아 시장에서 3거래일 연속 연고점을 경신했다. 전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긴축 기조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진 영향을 받았다. 예상보다 탄탄한 미 고용지표도 이러한 전망에 힘을 실었다. 연이은 상승세에 대한 부담으로 10년물 금리는 4.5% 돌파 후 상방이 제한되는 모습이다. 연합인포맥스 해외금리(화면번호 6531)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54분 현재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전장 대비 0.24bp 상승한 4.4996%에 거래됐다. 이시아 시장 개장 후 4.5037%까지 오르며 지난 2007년 11월 1일 기록한 4.5061%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시각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1.25bp 하락한 5.1356%에, 30년물 금리는 0.42bp 오른 4.5787%에거래됐다. 미국 채권시장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쉽게 종료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85

▲캠벨 하비 "美경제, 경기침체 빠질 것…연준 실수하는 것"

- 채권 수익률곡선(채권)의 개척자로 알려진 캠벨 하비 듀크대 교수는 미국 경제가 경기침체에 빠질 것이라며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 인상을 계속하는 것이 실수라고 지적했다. 21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캠벨 교수는 최근 인터뷰에서 "3개월과 10년물 미 국채 금리 간의 차이는 1968년 이후 경기침체를 정확하게 예측해왔다"며 현재 미 국채 금리 역전을 고려할 때 미국이 경기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미국 국채금리가 지난해 10월 26일부터 역전됐음을 상기시키며 평균 13개월의 시차를 두고 경기가 침체하는 것을 고려했을 때 미국 경제가 올해 12월이나 내년 1월부터 침체에 빠질 것으로 내다봤다. 캠벨 교수는 미국 경기침체의 원인이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에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특히 금리 인상이 실제 경제에 효과를 내기까지의 시차를 고려하면 아직도 금융시장은 지난해 금리 인상의 여파를 소화하고 있을수 있다고 설명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82

▲S&P500 선물, FOMC 이후 관망세에 강보합

- 22일 아시아 시장에서 미국 주가지수 선물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소화한 후 관망세에 강보합에서 등락했다. 연합인포맥스 지수선물 통합화면(화면번호 6520)에 따르면 한국 시각으로 이날 오전 10시 47분 기준 E-Mini S&P500 선물은 전장 대비 0.06% 상승한 4,374.50에, E-Mini 나스닥 100 선물은 전장보다 0.07% 오른 14,873.75에 각각 거래됐다. 지수 선물은 FOMC를 소화하며 관망세속 강보합에서 등락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시장 예상대로 금리를 5.25~5.5%로 동결했지만,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며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했다. 다만, 이번 주 주식시장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저가매수세가 일어나 지수선물을 떠받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이번 주 각각 2.7%, 3.5% 하락하며 지난 3월 이후 주간 기준 가장 하락 폭이 컸다. 투자자들은 정부 셧다운 여부에 관해서도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95

▲4.5% 육박 금리에 패자 더 많은 美채권시장…"세상 바뀌었다"

- 미국채 금리가 역사적 기록을 연달아 경신 중이다. 이번에는 10년물이 4.5%에 육박하며 더욱 과거로 돌아가는 중이다. 주요 외신은 시장참가자들이 저금리 시대가 끝났을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다는 분위기를 전했다. 22일 연합인포맥스 해외금리 일별 추이(화면번호 6540)에 따르면 간밤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4.4942%를기록했다. 전일보다 8.01bp 급등했다. 내년 기준금리 전망치를 높인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여파가 지속하며 이달 최대 상승폭을 나타냈다. 이로써 10년물을 기준으로 한 미국채 금리 수준은 2007년 10월 이전을 바라보게 됐다. 당시 2007년 하반기 당시 10년물 평균 금리가 4.49% 정도니 정확히 지금과 비슷하다. 현재 금리가 얼마나 지속하느냐에 따라 민간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약 5개월 사이에 120bp가량 오른 것이기도 하다. 미국 경기침체 등 시장참가자들의 기대가 점점 빗나가고 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52

▲WSJ "월가·연준, 둘 다 금리에 대해 틀렸다"

-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모두 기록적으로 높아지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올바른 금리 수준을 책정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이 너무많고 복잡한 탓에 중앙은행-시장 간의 대립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방준비제도(Fed)와 시장 모두 틀렸다는 논평을 게재했다. 조셉 C. 스턴버그 월스트리트저널(WSJ) 정치경제학 편집위원 겸 오피니언 칼럼니스트는 21일(현지시간) '월가와 연준은 둘 다 금리에 대해 틀렸다(Wall Street and the Fed Are Both Wrong on Interest Rates)'는 칼럼을썼다. 그는 "언젠가는 경제학자, 평론가, 월스트리트 투자자들이 '네'라고 대답하는 방법을 배우게 될 것"이라며"하지만, 지금은 그런시기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91

▲"BOJ, 7월 YCC 수정 후 시장동향 점검 …정책변경 예측 크지 않아"

- 일본은행(BOJ)이 22일 열리는 금융정책결정 회의에서 7월 정책 수정 이후 경제·물가 동향을 점검할 예정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고물가 장기화로 수익률곡선제어(YCC) 정책 재수정이나 마이너스 금리 정책 해제, 포워드 가이던스(선제 안내) 변경이선택지로 여겨지지만, 현시점에서 대규모 정책 변경을 예측하는 시장 참가자들은 적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본은행은 지난 7월 회의 때YCC를 수정해 10년물 국채금리 변동폭 상한을 사실상 1%로 끌어올렸다. 정책 수정 이후 10년물 금리는 0.75%대로 올라 2013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현재 일본의 물가는 일본은행의 전망을 웃도는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신선식품 제외)는전년 동월 대비 3.1% 올라 11개월 연속 3%를 상회했다. 정부의 경제 대책 효과를 제외하면 실제 상승률은 더욱 높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54

▲日 8월 근원 CPI 전년비 3.1% 상승 …시장 예상치 상회(상보)

- 일본의 8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치를 소폭 상회했다. 22일 일본 총무성이 발표한 8월 신선식품 제외 CPI는 105.7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1% 올랐다. 식품과 휘발유 가격 상승으로 CPI 상승률은 12개월 연속 3%를 넘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3% 상승을 웃도는 수치다. 신선식품을 포함한 헤드라인 CPI는 전년 대비 3.2% 올랐다. 신선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근원 CPI는 4.3% 상승했다. 1981년 6월(4.5% 상승) 이후가장 높은 수준의 상승률을 이어갔다. 품목별로 보면 신선식품을 제외한 식료품은전년 대비 9.2% 급등했다. 휘발유 가격은 7.5%, 숙박료는 18.1% 올랐다. 정부의 요금 억제 정책으로전기료는 20.9% 급락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63

▲日 증시 1%대 하락…美 증시 약세·일본은행 경계감

- 일본 증시는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미국 증시 하락에 동조해 약세로 장을 출발했다. 연합인포맥스 세계주가지수 화면(6511)에따르면 22일 오전 9시 27분 닛케이225 지수는 전일 대비 1.12% 하락한 32,207.86을, 토픽스 지수는 1.06% 내린 2,358.22를 기록했다. 간밤 뉴욕증시에서 3대 주가지수는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쉽게 끝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 속에 1% 이상 하락했다. 미국10년물 국채 금리가 4.50%에 바짝 근접해 2007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여파로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도세가 일었다. 투자심리 악화로 도쿄 증시에서도 주요 종목들이 광범위하게 약세를 나타냈다. 이날 일본은행의 금융정책 결정을 앞두고 있다는 경계감도 지수에 부담이 됐다. 지난 7월 수익률곡선제어(YCC) 정책을 수정한지 얼마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정책 수정 기대감은 크지 않지만, 우에다 가즈오일본은행 총재가 기자회견에서 향후 정책 변경에 관한 힌트를 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78

▲日 9월 제조업 PMI 48.6…4개월째 위축 국면

- 일본 제조업 업황을 나타내는 지표가 하락해 4개월 연속 위축 국면을 이어갔다. 22일 S&P글로벌에 따르면 일본의 9월 지분은행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8.6을 기록했다. 지난 8월 기록한 49.6보다 1포인트 낮아졌다. 일본 제조업 PMI는 지난 6월부터 4개월째 기준선인 50을 하회하고 있다. 우사마 바티 이코노미스트는 "3분기 말 일본의 민간 섹터는 성장 모멘텀을 추가로 잃고 있다는 신호를 보였다"며 "제조업의 신규 주문은 7개월새 가장 빠른 속도로 줄었다"고 지적했다.

9월 합성 PMI는 51.8로 이 역시 8월 수치(52.6)보다 악화됐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83

▲마이크론, '비싼' 엔비디아 주식 대체할까…"내년 차세대 HBM3 출시"

- SK하이닉스[000660]와 삼성전자[005930]가 독점하고 있는 고대역폭 메모리칩(HBM)3 시장에서 그간 '언더독(상대적 약자)' 자리에 있었던 마이크론(NAS:MU)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내년 초 차세대 HBM3 제품이 출시되면 마이크론이 인공지능(AI) '1등주'엔비디아(NAS:NVDA)를 넘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1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도이체방크의 시드니 호 애널리스트는마이크론의 투자의견을 '보류(hold)'에서 '매수(buy)'로 상향 조정하면서 D램과 낸드(NAND) 메모리 칩의 공급 과잉이 최악은 지났다고 언급했다. 팩트셋이 설문 조사한 37명의 애널리스트 중 28명(76%)이 마이크론의 주식을 매수 또는 이와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했다. 마이크론의 12개월 기준 콘센서스 목표 주가는 79.90달러로 전일 종가인 67.90달러 대비 17%가량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84

▲"中, 증시부양 노력에도 매도세 지속"

- 중국 당국의 증시 부양 노력에도 매도세가 지속됐다고 21일(현지시간) 마켓인사이더가 보도했다. 매체는 지난 7월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당국이 시장 활성화를 약속했으나 21일 중국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중국 벤치마크 지수인 CSI300 지수는 작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중국지수 역시 10개월 내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달부터 중국 금융 당국이 증시를 되살리기 위해 주식거래 인지세 인하,대주주 지분 축소 추가 규제 등 일련의 정책을 내놓았으나 최근 중국 증시는 약세를 보였다. 마켓인사이더는 중국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가 투자 심리를 악화했다고 분석했다. 매체는 부동산 부문의 부채 위기와 소비 및 제조 활동 부진에 투자자들이 중국 증시를 이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70

▲日 10년물 금리, 장중 0.7570%…연고점 재차 경신(상보)

- 일본 10년물 금리가 장중 0.75%를 넘기며 재차 연고점을 경신했다. 22일 연합인포맥스 해외금리 현재가(화면번호 6531)에 따르면 도쿄 금융시장에서 10년물 금리는 장중 0.7570%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3년 9월 10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당시 장중 고점인 0.7649%였다. 오전 9시58분 현재 10년물 일본 국채 금리는 전장 대비 0.67bp 하락한 0.7468%에 거래되며 상승 폭을 일부 되돌렸다.20년물 금리는 0.02bp 높은 1.4626%, 30년물 금리는 0.22bp 오른 1.6946%를 나타냈다. 40년물 금리는 0.42bp 상승한 1.8366%에 움직였다. 1bp(베이시스포인트)는 0.01% 포인트로, 국채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이날 일본은행(BOJ)의 금융정책결정회의 발표를 앞두고 일본 국채 장기 금리는 대체로 상승세를 나타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88

▲서머스 "연준 경제전망 너무 낙관적"

-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최근 내놓은 경제 전망이 너무 낙관적이라고 평가했다. 22일(현지시간) 미 포천지에 따르면 서머스 장관은 연준의 경제 전망에 대해 "연준이 예상보다 더 빠른 인플레이션 상승세나 부진한 경제 성장,혹은 스태그플레이션과 같은 역학에 두 가지가 모두 실현돼 놀랄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미국 경제가 직면한 다양한 위험으로전미자동차노조(UAW) 파업·학자금 대출 회계 감안 시 국내총생산(GDP)의 8%에 달하는 재정적자·물가 상승을 압박하는 건강보험비용 근로자의 날 이후 소비지출 둔화 조짐·기업 대출과 채권 만기 연장에 따라 더 높게 재설정될 차입비용을 꼽았다. 서머스 전 장관은 "지난 수십년간 경제에서 일어난 일들의 많은 부분은 노동력의 변화로 설명될 수 있다"며 "(최근) 노동시장의 분투가 인플레이션을 둘러싼 문제를 복잡하게 만드는 임금 압박의 원천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1992

권하연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