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홍예나 기자 = 4분기를 앞두고 고금리, 인플레이션 재가속화, 셧다운 등 주식시장에 위험 요인이 늘고 있다고 24일(현지시간) 마켓워치가 보도했다.
마켓워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내년까지 이전 예상보다 금리를 덜 인하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에 이를 수도 있다는 전망과 전미자동차노조(UAW) 파업 확대에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점화됐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매체는 미국 정부 셧다운 가능성과 학자금 대출 상환 재개가 경제성장을 둔화할 수는 있으나 연준의 기조를 바꿀 만큼은 아닐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마켓워치는 연준이 연내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에 지난주 미국 국채금리가 최소 12년간 보지 못했던 수준까지 오르며 증시 상승세의 제한 요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지난 22일 미국 증시 3대 지수는 4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보여 주간 손실을 기록했다.
JP모건체이스(NYS:JPM)는 지난 20일 연준이 금리를 더 오래 더 높게 유지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강조하자 증시가 약세를 보일 것이라 전망이 상당히 힘을 얻고 있으며 9월부터 10월 중순은 경기순환 관점에서도 일 년 중 증시가 가장 약세를 보이는 시기라고 언급했다.
JP모건은 미국 증시 하락세가 4분기까지 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증시 붕괴까지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EY판테온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그레고리 다코는 "당분간 저금리 시대로 돌아가는 일은 없을 것이며 더 오래 더 높은 금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가장 좋은 접근방식은 이를 인정하고 적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랜스버그 베넷 프라이빗 웰스 매니지먼트의 마이클 랜스버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10월 중순 시작되는 실적 발표 시즌에 대해서는 (아직) 큰 의문점이 많다"며 "증시가 어떤 종류든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이려면 실적이 의미 있는 수준으로 증가해야 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랜스버그 CIO는 "미국 시장에는 인플레이션, 금리, 실적 증가율 우려가 있기에 투자자들이 특히 일본과 인도와 같이 중앙은행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있지 않은 미국이 아닌 국가의 주식에 노출된 것이 중요하다"고 내다봤다.
ynhong@yna.co.kr
홍예나
ynhong@yna.co.kr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