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신용 확 낮춰도 쉽지 않네…KB국민희망대출 더딘 실적 이유는

23.09.25
읽는시간 0

KB국민희망대출, 5천억 지원한다더니 455억만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슬기 이수용 기자 = 저신용 취약차주의 은행권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 KB국민은행이 총 5천억원 공급 목표로 조성한 제2금융권 대출 대환 상품인 'KB국민희망대출' 공급액이 목표의 10%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1금융권 은행에서 최초로 시행돼 고객의 이자 비용 경감과 국내 가계부채 질적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라 기대를 모았지만, 예상보다 적은 공급 규모에 일각에선 공급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25일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의원실이 KB국민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총 5천억원 지원을 목표로 출시된 제2금융권 대환 대출 상품인 'KB국민희망대출'의 지원금액은 455억원(8월 말 기준)이었다. 지원 대상자는 총 2천152명에 불과했다.

또 금리 6% 초과 성실이자 납부차주의 금융비용 지원제도인 '대출원금 자동감면 프로그램'도 지원금액이 7천만원(8월 말 기준)에 그쳤다. 지원을 받은 대상자도 371명뿐이었다.

지난해 11월 14일 시행된 이 상품은 오는 11월까지만 운용된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3고(高) 시대에 차주들의 이자 부담을 덜어주고자 KB국민은행이 상생금융 차원에서 내놓은 상품들이지만, 실질적으로 혜택을 보는 취약차주들은 적은 셈이다.

KB국민희망대출은 지난 3월 금융감독원과 함께 개최한 '상생 금융 확대를 위한 금융소비자 현장 간담회'에서 내놓기로 한 상생 금융 프로그램 후속 조치로 마련됐다.

저신용 취약차주의 은행권 진입을 통해 가계부채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한 제2금융권 대출 전환 상품이다. 최고금리를 연 10% 미만으로 제한해 총 5천억원 규모로 운용된다.

대출 대상은 제2금융권 대출을 보유한 근로소득자로 KB국민은행 고객 외에 타행 거래 고객도 이용이 가능하다.

상품 출시 당시 제1금융권인 은행에서 최초로 시행되는 제도여서 고객의 이자비용 경감뿐만 아니라 개인 신용도 및 대출의 질을 개선에 기여할 것이란 기대감을 모았다.

KB국민은행은 많은 차주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재직기간은 1년 이상, 소득 요건 연 2천400만원 이상으로 문턱을 크게 낮췄다고 소개했다.

대출 거절 기준도 완화해 은행권 대출이 어려운 다중채무자도 심사 결과에 따라 이용할 수 있고 대출 기간도 늘렸다고 밝혔다.

실제로 KB국민희망대출은 출시 당일부터 신청자가 몰리면서 누적 신청자수가 1만명을 넘기도 했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출시 한 달 만에 'KB국민희망대출' 누적 신청자수는 1만583명(4월 28일 기준)이었다.

하지만 고금리 상황 속에서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내놓은 정책성 금융상품의 혜택을 받는 실제 소비자의 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상생금융 압박에 따른 보여주기식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 김한규 의원은 "KB국민은행이 내놓은 KB국민희망대출 상품이 5천억원 규모로 신청을 받는다고 해서 기대를 모았는데 현재는 목표의 10분의 1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며 "은행권 최초로 제2금융권에서 은행권으로 대출을 옮겨 대출의 질을 개선하겠다는 좋은 취지가 잘 살 수 있도록 대출 기준을 손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권은 올 초부터 금융당국의 독려에 금리인하, 만기연장 지원 등 다양한 상생금융 방안을 발표해 추진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8월 말까지 소비자에게 돌아간 상생금융 혜택은 약 4천387억원 수준으로, 혜택을 본 소비자수는 174만명이다. 수수료 면제금액, 대출원리금 상환부담 경감액 등 순수 혜택 기준으로 상생금융 관련 대출(예금)금액은 63조6천억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은행권이 상생금융 혜택을 더 많은 차주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완화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상생금융 지원 대상을 확대하려고 해도 DSR 허들 등 규제 때문에 차주들이 많이 탈락하기도 한다"며 "신용등급을 8등급까지 넓혔는데도 미달로 안되는 사람도 많고 5월 말 대환대출플랫폼이 나오면서 차주들이 1금융권으로 갈아탈 기회가 많아져 취급 규모가 적은 것도 있다"고 말했다.

또 '6%를 초과하는 이자 금액'에 대해 혜택을 받는 대출원금 자동감면 프로그램도 대출 대상 금액을 최대한 많이 지원하려고 해도 금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 지원할 수 있는 이자 규모가 많지 않다는 게 은행권의 입장이다.

KB국민은행도 지원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5천억원 한도에서 지원 규모가 미미해서 내부적으로 늘릴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sgyoon@yna.co.kr

윤슬기

윤슬기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