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뉴욕환시] 달러화,매파 연준에 고공행진…BOJ·ECB는 왕비둘기

23.09.26
읽는시간 0

(뉴욕=연합인포맥스) 배수연 특파원= 달러화 가치가 거침없는 상승세를 이어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매파적인 기조를 강화한 여진이 이어지면서다. 일본은행(BOJ)이 초완화적인 통화정책을 고수한 여파로 엔화 가치는 11개월 만에 최저치로 곤두박질쳤다.

연합인포맥스(화면번호 6411)에 따르면 25일 오후 4시 현재(이하 미국 동부시각)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화는 148.826엔을 기록, 전장 뉴욕 후장 가격인 148.379엔보다 0.447엔(0.30%) 상승했다.

유로화는 유로당 1.05910달러에 움직여,전장 가격인 1.06484달러보다 0.00574달러(0.54%) 하락했다.

유로는 엔에 유로당 57.66엔을 기록, 전장 157.99엔 대비 0.33엔(0.21%) 내렸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 인덱스는 전장 105.572보다 0.36% 상승한 105.949를 기록했다. 달러 인덱스는 한때 106.098을 찍는 등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달러-엔 환율 일봉 차트:인포맥스 제공>

달러-엔 환율이 한때 148.970엔을 기록하는 등 상승세를 보이며 엔화 가치의 약세를 반영했다. 당장은 마땅한 지지선을 찾지 못해 엔화의 추가 약세가 불가피한 것으로 진단됐다. 일본 외환당국의 개입에 대한 경계감이 엔화 가치의 추가 하락을 제한하는 유일한 버팀목인 것으로 풀이됐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가 수익률곡선제어(YCC) 정책 폐지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이날 "지속 가능하고 안정적인 2%대 물가 목표를 달성할 경우 수익률곡선제어(YCC) 정책 폐지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우에다 총재는 이같이 출구 전략을 밝혔지만 시장은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우에다 총재가 최근 엔화 약세 움직임을 주목하며 기업 실적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있다고 언급했지만 역시 재료로 작용하지 못했다.

150엔대 환율이 가시권에 들어오면서 일본 외환당국의 개입에 대한 경계감은 한층 증폭됐다.

유로화도 약세 흐름이 깊어졌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의 실물 경기가 위축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서다.

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유로존의 경제 활동이 2023년 상반기에 전반적으로 정체됐고, 3분기에 추가로 약해질 것이라고 봤다. 그는 금리가 충분히 장기간 유지되면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로 적시에 복귀할 수 있도록 상당히 기여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는 최근 입장을 유지했다.

이에 앞서 ECB 정책 위원인 프랑수아 빌레로이 드 갈라우는 ECB가 금리를 너무 높게 인상하는 것을 경계해야 하며 경제의 경착륙을 피해야 하는 지점에 도달했다고 주장했다.

지난 주말 발표된 9월 유로존 합성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47.1로 기준치인 50을 밑돌았다. PMI는 50을 기준으로 경기 위축과 확장을 가늠한다.

이에 따라 유럽중앙은행(ECB)의 정책금리 인상 기조는 사실상 종식된 것으로 풀이됐다.

연준 고위관계자들은 매파적 기조가 강화된 발언을 쏟아내는 등 ECB와 차별화된 행보를 강화했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내년에도 연방기금 금리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우리가 원하는 수준보다 높게 유지될 위험이 제일 큰 위험"이라며 "목표치로 인플레이션을 낮춰야 하며, 우리가 그렇게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픽테트의 리서치 헤드인 프레드릭 듀크로제트는"진실은 미국 국채 10년 만기 수익률이 4.5%를 넘었다는 점이 아니라 절대적인 숫자가 무엇이든 시장은 고통의 임계점에 더 가까워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는 점이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금까지 투자자들은 특히 기술주 분야에서 주식 시장 성과와 가치 평가가 얼마나 잘 유지되었는지, 그리고 거의 2년간의 금리 인상에도 미국 경제가 얼마나 많은 회복력을 보여줬는지에 대해 놀라울 정도의 즐거움을 누렸다고 진단했다.

그는 그러나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향해 치닫고 있고 기술주 부문 이외의 주식이 상승세를 보이려고 애쓰는 가운데 균열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모든 일은 회복력이 끝나는 순간에 일어나고 있다"면서 " 우리는 이미 미국 경제에 상당한 약점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유럽에서는 이미 그런 일이 일어났다고 덧붙였다.

코메르츠방크의 분석가인 에스더 라이첼트는 " 총재인 우에다 가즈오에 따르면 지속 가능한 기반에서 안정적인 인플레이션의 조짐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BOJ 현재의 체제 아래에서 인내심을 갖고 통화 완화를 계속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는 엔화 가치를 확실히 약화시키는 요소였다고 강조했다.

그는 148.50엔에 대한 오버슈팅은 작년과 유사하게 엔화를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개입의 촉매제로 많은 사람들에게 여겨졌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물론 개입에 대한 그러한 두려움이 현재로서는 엔화 약세를 막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풀이했다.

그는 유로존의 경기 침체 위협은 ECB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점점 희석시키고 있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그는 아울러 시장이 내년도 금리 인하 기대치를 고수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면서 이는 현재 유로화에 하락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neo@yna.co.kr

배수연

배수연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