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정현 기자 = 같은 장기존속 한계기업 사이에서도 건전성에 큰 차이가 있는 만큼 정책적 판단을 할 때는 개별 기업의 회생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한국은행의 진단이 나왔다.
한은은 26일 발간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통해 "자산 규모 및 산업 등에 따라 장기존속 한계기업 간에도 부실위험 등 건전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한계기업이란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총이자비용)이 3년 연속 1을 밑도는 기업을 의미한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기 어려운 상태가 3년간 지속된 기업이다.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5년 이상 연속으로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기업을 뜻한다.
2022년 외감기업 중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903개로 외감기업의 3.6%, 한계기업의 23.1%에 해당한다. 이들이 보유한 차입금은 50조원 규모로, 외감기업 및 한계기업의 차입금의 5.1%, 29.6%를 차지했다.
업종별로는 장기간 투자가 필요한 부동산(6.1%), 운수(6.8%) 업종과 영업규모가 상대적으로 영세한 사업지원 서비스업(19.6%)에서 비중이 높았다.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향후 이자보상배율이 1 이상인 정상기업으로 회복되는 비율이 낮을 것으로 한은은 봤다. 기업의 취약상태 지속 기간이 길어질수록 1년 뒤 해당 기업의 이자보상배율이 상승해서다.
2014~2021년 취약기업(이자보상배율 1 미만)을 취약상태 지속기간에 따라 구분해 분석해보니 취약기업이 1년 뒤 정상기업으로 회복되는 비율은 취약 1년차 기업은 39.1%였지만 장기존속 한계기업(7년 이상 취약상태)은 11.2%로 낮았다.
한국은행
다만 장기존속 한계기업 간에도 자산규모 및 업종에 따라 현금흐름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중견 및 대기업(자산 1천억원 이상)의 경우 차입을 확대해 영업손실을 보전한 반면 중소기업들(1천억 원 미만)은 주로 보유자산을 매각해 대응했다. 자산이 1조원 이상인 경우 영업손실 상태가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대규모 차입을 통해 투자를 크게 확대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업의 경우 영업현금흐름 수지가 크게 악화하지 않는 수준에서 차입을 통한 투자활동을 지속하고 있었다. 운수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의 경우 영업 흑자에도 높은 이자 부담으로 인해 한계기업 상태가 이어지는 가운데 차입금 축소를 통해 상환 부담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었다.
한국은행
한은은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영업손실 보전을 위해 차입금을 늘리는 과정에서 이자상환 부담이 증가하며 유동성·상환능력·안정성이 저하됐다는 공통점이 있다"면서도 "자산 규모 및 산업 등에 따라 부실위험 등 건전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고 총평했다.
그러면서 "부실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및 취약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등과 같은 정책을 판단하고 실시할 때, 한계기업 여부뿐 아니라 개별 기업의 재무건전성, 자산규모, 산업 특성 등을 함께 검토해 기업의 회생 가능성을 더욱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jhkim7@yna.co.kr
김정현
jhkim7@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