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필중 기자 = 한화자산운용은 26일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 수익률 선두그룹 퇴직연금 사업자 포트폴리오에 가장 높은 비중으로 자사 타깃데이트펀드(TDF)가 편입됐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7월 발표한 올해 2분기 기준 사전지정운용방법 비교공시에 따르면 최근 6개월 기준 1위를 기록한 포트폴리오는 'KB국민은행 디폴트옵션 고위험 포트폴리오1'로 14.1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그 뒤로 '한화투자증권 디폴트옵션 고위험 TDF2'(11.47%), '신한투자증권 디폴트옵션 고위험 포트폴리오1'(11.41%)이 차지했다.
수익률 상위 10위권에 든 퇴직연금 사업자 포트폴리오 중에서 한화운용의 TDF 비중이 2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률 상위 10위권 사업자 포트폴리오 분석 결과 5개 포트폴리오가 한화운용의 TDF를 편입하고 있었다.
한화운용 TDF는 지난해 시행된 디폴트옵션 승인 과정에서 총 20개의 퇴직연금 사업자로부터 선택받아 37개 포트폴리오에 편입되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 사업자들은 초저위험, 저위험, 중위험, 고위험 등으로 나눠 이에 적합한 상품을 조합해 고객의 투자성향에 맞는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
한화운용 TDF의 수익률 기여가 큰 점도 한몫한다. 모든 빈티지(2025~2050) 상품의 최근 3년 수익률 기준으로 살펴보면 3위 안에 든다. 높은 수익률 순으로는 2050, 2045, 2040 빈티지가 차지했다. 각각 19.27%(3위), 18.86%(2위), 17.71%(2위)로 집계됐다.
한화 'LIFEPLUS TDF'는 확정기여형(DC형) 퇴직연금 및 개인형 퇴직연금(IRP) 계좌에서 100% 투자가 가능하며, 연금 계좌를 활용하면 다양한 세제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한, 한화운용 직판앱인 파인(PINE)을 활용하면 보수가 최저 수준으로 적용되며 선취 수수료, 후취 수수료, 환매 수수료가 모두 없어 불필요한 비용을 줄여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전략사업부문장은 "연금자산 운용에 최적화된 TDF 상품이라 하더라도 저마다 장기 수익률과 위험 대비 수익률, 변동성 및 환헤지 전략 등의 차이로 성과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며 "언제 어느 시점에 가입하더라도 장기적으로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는 TDF들의 성과 차별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해보면 좋은 투자 솔루션을 선별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joongjp@yna.co.kr
정필중
joongjp@yna.co.kr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