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표] 10월 및 중장기 달러-원 전망-①

23.09.27
읽는시간 0

◆임기묵 IBK기업은행 차장

원래는 10월 상단을 1,360원으로 봤지만, 달러 인덱스가 연고점을 넘어서면서 1,380원으로 높인다. 9월 말 10월 초 연휴가 긴데, 달러를 들고 가자는 심리가 있어 달러-원이 큰 폭 오른 듯하다. 연방준비제도의 셧다운 영향은 실질적으로 크지 않았다고 본다. 국제 유가도 배럴당 100달러 전망에서 어느 정도 올라온 걸로 보이는데 앞으로는 미 국채 금리가 중요할 것 같다. 최근 금융시장 심리가 취약해서 재료에 비해 크게 튀고 있다. 10월에는 상승이 막히는 저항선을 다시 확인해야 할텐데 미국 PCE 물가 지표 등 어느 순간에 환율 상승세가 진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30~1,3801,3001,2501,250

◆한유진 부산은행 대리

9월 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동결했지만, 추가 인상 가능성을 언급하며 긴축을 이어가는 듯하다. 미국 물가가 목표치보다 높은 수준이 지속되고 있어 연준의 추가 인상 가능성을 무시하기 어렵다. 엔화와 위안화가 약세고 달러-원이 연고점을 돌파하며 당분간 매수 쏠림은 불가피하다고 본다. 다만 10월 초에는 이월네고가 유입되며 달러-원이 눌릴 가능성이 있고 외환 당국도 존재감을 보여줄만한 개입이 있을 수 있다. 연이은 급등 이후에는 하락 조정도 올 수 있다.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30~1,3801,3001,2501,250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10~1,3701,3401,3201,300

◆박범석 우리은행 과장

10월에도 상승 추세가 쉽게 꺾이지 못할 것으로 본다. 매크로 상황을 보면 달러 강세와 미 국채 금리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달러-원이 상단에 위치한 것은 사실이나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하는 상황에서 달러-원의 급격한 하락은 어려울 것이다. 하락요인을 굳이 꼽자면 중국 정부의 위안화 약세 관리가 있겠지만, 외국인들이 달러를 팔 유인을 찾기 어렵다.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30~1,3801,3001,2501,250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10~1,3701,3401,3201,300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20~1,3701,3001,2801,260

◆문정희 KB국민은행 연구원

9월에는 국제유가 상승·미국 FOMC 회의 이후 미국채 금리 급등·위험회피심리 고조에 따라 글로벌 달러가 강세를 보였고 달러-원도 상승했다. 10월에도 환율 상방 압력은 잔존할 것으로 본다. 다만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 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되며, 미국 9월 고용과 소비자물가는 전월보다 둔화될 전망이다. 이는 미국 국채 금리 반락과 달러화에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중국 상황을 보면 정부의 부양 조치 지속되고 경제활동도 개선될 것으로 본다. 유로지역에서는 경기 저점 기대 등이 작용할 수 있고 위안화와 유로화 등은 저평가 수준이라고 본다. 한국 상황을 보면 수출 개선으로 인해 무역수지, 경상수지 흑자가 예상된다. 다만 역내 달러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 예상대로 미국 경제지표 둔화로 미국 국채 금리가 반락한다면 달러 강세도 다소 약화될 전망이다. 10월 평균 환율은 1,335원 수준으로 보며 위험회피 고조로 환율이 튈 가능성도 있다. 그럴 경우 일시적 상승 후 반락할 것으로 본다.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30~1,3801,3001,2501,250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10~1,3701,3401,3201,300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20~1,3701,3001,2801,260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00~1,3701,3051,2851,265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

연준이 통화 긴축 의지를 강하게 피력함에 따라 미국채 금리가 올랐고 달러는 강해졌다. 높은 유가로 인해 연준의 태도가 쉽게 바뀌지 않을 수 있고 유럽의 펀더멘털 부진이 더욱 심화되고 있어서 달러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판단한다. 중국의 환율 방어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약세 압력도 여전하다. 외환당국의 미세 조정이 있지만, 글로벌 달러 강세 환경이 강화되고 있어서 당국의 노력이 결실을 맺을지는 미지수다. 향후 미국의 지표의 변화에 따라 달러의 변동성이 클 수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추세적으로는 미국 물가가 둔화하고 고용 지표는 흔들리겠으나 1개월 단위의 지표는 흐름과 다르게 엇나가는 경우가 많으므로 시장 변동성이 클 수 있다.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30~1,3801,3001,2501,250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10~1,3701,3401,3201,300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20~1,3701,3001,2801,260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00~1,3701,3051,2851,265
2023년 10월 전망치2023년 4분기2024년 1분기2024년 2분기
1,312~1,3671,3221,3001,285
노요빈

노요빈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