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서울 아파트 전셋값 더 뛰었다…매매가는 7주 연속 상승

24.05.09
읽는시간 0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 폭이 전주보다 더 뛰었고, 매매 가격은 7주 연속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이 9일 발표한 '5월 첫째 주(6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9% 올라 전주의 0.07%에서 상승 폭이 확대됐다. 이로써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51주 연속 상승했다.

서울은 신축과 역세권 등 선호도가 높은 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 중이며, 신규 계약 가능한 매물이 감소하면서 그동안 상승세 크지 않았던 구축 저가 단지에서도 상승 거래가 나타나는 모습이다.

강북 지역에서는 성동구가 금호동1가와 응봉동 대단지 위주로 오름세를 보이면서 0.22% 올랐고, 강북구는 정비사업으로 인한 이주 수요 영향으로 0.16% 상승했다.

강남 지역에서는 동작구가 흑석, 사당동 신축 위주로 올라 0.18% 상승했고, 서초구는 반포와 잠원동 위주로 올라 0.10% 올랐고, 강남구도 개포와 압구정 중심으로 0.10% 상승했다.

인천과 경기 지역의 아파트 전세 가격도 각각 0.14%, 0.06% 올라 전주의 0.10%, 0.05%에서 모두 상승 폭이 확대됐다.

인천에서는 부평구에서 청천, 삼산동 신축 위주로 오르면서 0.31% 상승했고, 서구도 정주여건이 양호한 가정, 청라동 신도시 위주로 올라 0.22% 상승했다.

경기 지역에서는 이천시가 신규 입주 물량으로 0.14% 하락했으나, 성남 중원구가 은행, 상대원동 위주로 올라 0.30% 상승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셋값도 0.03% 올라 지난주(0.02%)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반면, 지방의 아파트 전셋값은 0.02% 하락해 전주의 0.01% 하락에서 낙폭이 확대됐다. 서울과 지방간의 전세 가격 디커플링이 심화한 모습이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전세가 상승 지역(94→113개)은 증가했고, 보합 지역(14→7개)과 하락 지역(70→58개)은 감소했다.

매매가격지수 변동률과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자료]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도 서울과 지방간의 디커플링이 지속됐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에 비해 0.03% 오르면서 7주 연속 상승했다. 상승 폭은 전주와 동일했다.

지방은 0.04% 하락해 전달과 같은 하락 폭을 보였다. 이로써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은 0.02% 하락했다. 하락 폭은 지난주와 같다.

시도별로는 대구(-0.10%), 제주(-0.08%), 충남(-0.07%), 경남(-0.05%), 부산(-0.05%) 등은 하락했고, 충북(0.00%), 경북(0.00%)은 보합세를, 인천(0.04%), 전북(0.03%), 강원(0.01%) 등은 상승했다.

공표 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66→66개)은 전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고, 보합 지역(9→12개)은 늘었으며, 하락 지역(103→100개)은 감소했다.

서울의 아파트 매매 시장은 거래 희망 가격에 대한 격차가 좁혀지지 않는 관망세가 유지되는 가운데, 중저가 외곽 구축과 비교해 선호 지역이나 선호 단지에 대한 매도 희망 가격이 하락하지 않고, 일부 상승 거래가 나타나 전체 가격 상승세가 유지됐다.

강북에서는 노원구(-0.02%), 강북구(-0.02%)는 하락했으나, 용산구(0.14%), 성동구(0.13%), 마포구(0.09%)는 오름세를 보였다.

강남에서는 강남구(0.08%), 서초구(0.07%), 영등포구(0.06%), 송파구(0.05%), 동작구(0.03%)가 모두 올랐다.

인천의 아파트 매매 가격은 0.04% 올라 전주의 0.02% 상승에서 상승 폭이 확대됐다. 미추홀구(-0.02%)는 공급영향이 있는 용현·주안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중구(0.17%)는 중산·신흥동 주요 단지 위주로, 서구(0.07%)는 신현·청라동 위주로, 계양구(0.05%)는 작전·효성 신축 위주로, 동구(0.02%)는 지역개발 기대감으로 상승했다.

경기의 아파트 매매 가격은 0.03% 하락해 전주와 같은 하락세를 보였다.

하남시(0.07%)와 수원 영통구(0.06%)는 상승했으나, 양주시(-0.11%), 평택시(-0.11%), 안양 만안구(-0.11%)는 하락세를 보였다.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eb.or.kr/r-one) 또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자료]

ysyoon@yna.co.kr

윤영숙

윤영숙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