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닛케이 "日 '폐가 손실' 3.9조엔…주변 부동산 하락 등 악순환의 진앙"

24.06.18
읽는시간 0

일본의 폐가

(서울=연합인포맥스) 배수연 기자 = 2023년까지 5년간 손실이 3조 9천억 엔(247억 달러)에 달하는 등 일본의 폐가들이 주변 부동산의 가치까지 떨어뜨리고 있다는 새로운 분석이 제기됐다. 천문학적 규모의 주택 가격 폭락이 더 많은 미분양을 양산하는 등 악순환을 부추기는 등 폐가들이 구조적인 문제의 진앙이 된 것으로 풀이됐다.

18일 닛케이 아시아에 따르면 일본의 폐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5개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아키야 컨소시엄은 2023년 정부 통계와 도쿄대 부동산혁신센터의 조사에 근거해 이런 결과를 내놨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매수세가 없거나 임대가 가능하지만 장기간 공실로 남아 있는 폐주택은 2018~2023년 기간에 36만채가량 증가해 약 385만채에 달했다. 이 중 70% 이상이 단독주택이었다.

많은 경우 폐가 반경 50m 이내 땅값이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컨소시엄의 조사 결과 드러났다. 잡초 등 식물이 지나치게 자라나는 데 따른 생태계 교란, 해충, 공공 안전에 대한 우려로 입주를 희망하는 사람들의 수가 감소하는 것이 잠재적인 원인으로 풀이됐다.

2023년까지 5년간 방치된 단독주택의 약 80%가 주변 부동산 가치를 약 3조9천억엔 떨어뜨린 것으로 추정됐다.

국토교통성이 2024년까지 3년 연속 주거용 지가가 올랐다고 밝힌 가운데 폐가가 상승률을 억제했을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건설·철거 서비스 업체 크라손의 테페이 가와구치 최고경영자(CEO)는 "우리의 추정치는 버려진 단독주택이 땅값에 미치는 영향에만 국한됐다"면서 "실제 부정적인 영향은 더 클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버려진 아파트의 경우 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추정치에 포함되지 않았던 버려진 콘도(우리나라의 아파트에 해당하는 주거 형태)의 경우 소유자가 없어지면 관리비와 수리비 지급이 지연돼 건물 전체의 자산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

부동산 조사업체 도쿄관테이의 이데 다케시는 "앞으로 손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폐가가 증가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홀로 사는 노인들이 많다. 앞으로 폐가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은 집들이 많다는 뜻이다.

이데 다케시는 "이들 주택 역시 아무도 상속받지 못하면 소유주가 사망한 뒤 버려질 것이고 땅값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일본은 인구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독거 인구가 증가해 가구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30년에는 정점을 찍을 것으로 국립인구사회보장연구소는 추정하고 있다. 이후 주택에 대한 총수요가 본격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할 것이고, 이는 폐가 증가를 가속할 것으로 추정됐다.

정부는 상속 등록을 의무화하는 등 법적 대응에 나섰다.

이데 다케시는 "가구 수까지 감소하기 시작하면 개별 빈집에 대한 대응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neo@yna.co.kr

배수연

배수연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