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모듈러 주택. 집을 구성하는 요소를 땅과 건축물로 구분한다면 건축물을 공장에서 제조해 땅 위에 쌓는 개념이다. 공장에서 제조하니 날씨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이 제한되고 균일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이미 만든 건축물을 현장에서 조립하니 공사 기간도 대폭 단축된다. 이런 장점에도 도입된 지 20년이 넘는 모듈러 주택이 국내 건설 현장에서 자리 잡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지난 4일 국토교통부 기자실에서 열린 LH스마트건설 추진계획 브리핑에서 노태극 LH 스마트하우징 팀장은 일손 부족, 시공품질 논란, 안전 관리 등의 난제에 부딪힌 국내 건설산업의 돌파구로 제조기반건설(OSC)을 지목했다.
제조기반건설(OSC)이란 현장에서 거푸집 등을 설치해 짓는 기존 건설방식과 달리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현장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바꿔 가는 것을 의미한다. 모듈러 주택은 이런 OSC 건설방식의 대표적인 사례다.
자동화, 공장제작, 건식공법 등의 변화를 통해 공사기간과 안전위험이 줄고 품질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지난 2003년 도입 이후 국내 모듈러 건축 시장은 1천억 원도 안되는 수준에서 맴돌다 지난해서야 8천억 원대를 기록했다.
[출처: LH]
대기업인 포스코 A&C마저 철수하면서 모듈러 주택은 위기를 맞았지만 LH가 구원투수로 나섰다. LH는 2030 OSC로드맵을 제시하면서 현재 공사기간 20% 단축, 공사비 130% 수준인 모듈러 주택 사업성을 2030년 공기 50% 단축, 공사비 철근콘크리트 수준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2030년에는 연간 공공주택 착공 물량의 10%인 5천호를 모듈러 주택으로 발주해 시장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모듈러 주택이 국내 건설시장에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세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기술력, 경제성, 규제가 바로 그것이다.
해외에서는 23층에서 26층 규모의 초고층 모듈러 건축물이 자리를 잡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13층이 최고층이다.
경제성과 관련해서는 기존 철근콘크리트 공법 대비 30% 비싼 공사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비용 절감은 규제와도 관련이 있다. 모듈러 주택이 제조업과 건설업에 모두 걸쳐 있다 보니 감리가 공장과 공사현장 두 곳에서 적용된다.
모듈러 주택의 특성상 주택 내부의 전기, 통신설비는 공장제조단계에서 해결되는데 현행 법규상 전기, 통신, 소방공사 분리 발주 의무 때문에 기대만큼의 비용절감 효과를 내지 못한다. 공법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내화규제도 초고층화의 걸림돌이다.
[출처: LH]
오주헌 LH 공공주택본부장은 "모듈러 주택이 우리나라 정착 못하는 것은 경제성이라는 부분에서 많은 제약사항이 존재했다"며 LH가 로드맵을 통해 발주물량을 제공하고 연구개발을 거쳐 요소기술을 확보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 LH는 세종시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모듈러 주택을 짓고 있다. 세종 6-3 생활권에서 짓는 해당 단지는 총 416호 규모로 1블록은 200호, 2블록은 216호로 모두 7층 규모다.
초고층 모듈러 주택 기술 확보를 위해 경기 의왕 초평지구에는 20층 381가구 규모의 국내 최고층 모듈러 주택을 추진한다. 앞서 지난 3월에는 세종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에서 지상 12층 규모의 모듈러 주택 450가구를 발주했다.
이한준 LH 사장은 "건설산업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건설기술, 탈현장 건설 공법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면서, "다양한 실증사업을 통해 탈현장 건설공법을 표준화하고, 관련 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우수 기술 개발하는 등 스마트 건설 기반을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
spnam@yna.co.kr
남승표
spnam@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