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자료 참고]
토지거래량, 작년 하반기대비 3.1%↑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올해 상반기 전국 땅값이 서울과 경기도권의 가파른 땅값 상승세로 이전보다 상승 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4 상반기 지가 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자료에 따르면 상반기 전국 지가는 0.99% 올랐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상승률인 0.76%보다 0.23%포인트 확대된 것으로 지난해 상반기의 0.06%보다도 상승률이 0.93%포인트 높아졌다.
올해 1분기에 0.43% 오른 전국 땅값은 2분기에도 0.55% 올라 전체 상반기 상승률을 끌어올렸다.
월별로는 올해 4월과 5월, 6월 각각 0.178%, 0.183%, 0.190% 올라 상승률이 가팔라졌다. 전국의 땅값은 2023년 3월 상승 전환한 이후 16개월 연속 올랐으며 지난 3개월간 상승률이 가팔라졌다.
지역별로는 수도권(0.99% → 1.26%)과 지방(0.37% → 0.52%)에서 모두 지난해 하반기 대비 올해 상반기 지가 상승률이 높아졌다.
특히 서울(1.12% → 1.30%), 경기(0.91% → 1.26%) 등 2개 시·도가 전국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다. 전국 시·도 중에서 제주만이 0.22% 하락했다.
시·군·구 중에서는 용인처인구와 성남수정구가 각각 3.02%, 2.90% 올랐고, 군위군이 2.64% 오르는 등 252개 시·군·구 중 53개 시·군·구가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상반기 인구감소지역으로 고시된 지역의 지가변동률은 평균 0.448%로 비대상지역 1.033% 대비 0.585%포인트 낮았다.
용도별로는 상반기에 상업 지역 전국 땅값이 1.09% 오르고, 공업지역 땅값은 1.19% 상승했다. 모두 이전의 0.76%, 0.81%보다 상승률이 높아진 것이다. 주거용 땅값도 0.95% 올라 작년 하반기의 0.90%보다 상승률이 확대됐다.
상반기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93만 필지(663.8㎢)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상반기 대비 0.6%(0.5만 필지), 작년 하반기 대비 3.1%(2.8만 필지) 각각 증가한 것이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34만6천 필지(606.6㎢)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7.7%(2만9천필지) 줄었다. 그러나 이는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해서는 3.1%(1만1천 필지) 늘어난 것이다.
지역별로는 토지거래량이 울산 19.5%, 세종 14.6% 등 10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7개 시·도에서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대전 17.7%, 세종 15.5%, 전북 14.7%, 전남 14.7% 등 11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6개 시·도에서 줄었다.
용도 지역별로는 농림지역에서 거래량이 33.4% 증가했고, 지목별로는 답(畓)이 17.2%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건물 용도별로는 주거용 토지 거래량이 10.4%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다.
ysyoon@yna.co.kr
윤영숙
ysyoon@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