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민간 분양 아파트 10곳 중 4곳 주인 못 찾아
서울 초기분양률도 80%대로 내려와
(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윤영숙 기자 =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 일부 서울·수도권 아파트 단지에 청약 인파가 몰리고 있지만 정작 민간 아파트 평균 초기 분양률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위기가 불거졌던 2022년 4분기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대책을 마련 중인 정책 당국의 고심도 깊어질 것으로 풀이됐다.
31일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수도권 아파트 초기분양률은 72.4%로 전분기 대비 10.4%포인트(p), 전년 동기 대비 3.8%p 감소했다.
초기분양률은 분양기간 3개월 초과 6개월 이하 민간아파트의 평균 분양률이다. 분양률은 신규 분양 아파트의 총분양 세대수 대비 분양계약 체결 세대수의 비율이다. 즉 6개월 이내 실제 계약이 체결된 아파트를 가리킨다.
수도권 아파트 초기분양률은 2020년 이후 90~100% 사이를 유지했다. 9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 2022년 4분기 75.1%가 처음이었다. 2022년 하반기 단기채권에 대한 신용위험이 확대하면서 이른바 부동산 PF 위기가 불거진 시점이다.
이후 2023년 1분기 77.3%, 2분기 76.2%, 3분기 88.7%로 회복되다 4분기 들어 94.7%로 이전 모습을 되찾는 듯했으나 올해 1분기 82.9%로 휘청하다 마침내 다시 70%대로 떨어졌다.
[출처: 주택도시보증공사]
지역별로 보면 작년 3, 4분기 초기분양률 100%를 유지하던 서울도 1분기 88.6%, 2분기 84.8%로 꺾였다. 인천은 작년 3분기 98.4%로 정점을 찍고 4분기 90.7%, 올해 1분기 72.9%로 주춤하다 2분기 89.2%로 반등했다.
경기도는 작년 4분기 95.2%로 회복하는 듯했으나 올해 1분기 86.2%로 떨어지더니 2분기 66.8%로 주저앉았다. 경기도의 초기분양률은 부동산PF 위기의 충격을 받았던 2022년 4분기 73.3%보다 낮았다.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적게는 수억원에서 많게는 20억원가량의 시세 차익이 기대되는 이른바 '로또 청약' 일정이 맞물리면서 청약 홈페이지가 마비된 2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홈페이지에 대기자 수가 표시되고 있다. 2024.7.29 kane@yna.co.kr
수도권 아파트 초기분양률이 이처럼 무너지면서 다음달 주택정책을 발표해야 하는 정책 당국의 셈법은 더욱 복잡해졌다. 공급부족에 대한 우려를 진정시키기 위해 대규모 공급계획을 쏟아내다가는 자칫 아파트 분양시장 전체를 망가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 서울과 경기도 일부 아파트로 청약 인파가 몰리면서 마치 아파트 청약시장이 활황인 듯한 인상을 던졌지만 초기 분양률이 가리키는 상황은 다르기 때문이다.
게다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경우, 부산의 초기계약률 3.3%에서 볼 수 있듯 처참한 수준이어서 오히려 수요 활성화 정책이 필요했다.
게다가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는 8월 대책이 추가공급대책이라고 명시했지만 대통령실에서는 투기수요 엄단 주문이 나온 데다 통화당국에서는 수도권 아파트 가격을 잡지 않으면 기준금리 인하가 어렵다는 입장을 표명한 상태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공급 대책 수립에 주력하고 있다"며 투기 동향 등에 대해서는 "시장을 엄중히 모니터링하고 있다. 별도로 투기방지 대책을 고려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spnam@yna.co.kr
남승표
spnam@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