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1기 신도시 재건축 이주대책과 관련해 도시별 상황에 따라 이주단지가 마련된다. 국토교통부는 다음달 개별신도시 기본계획에서 관련 내용을 밝힐 것이라고 예고했다.
진현환 국토부 1차관은 9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1기 신도시 재건축에 따른 이주대책과 관련해 "중요한 것 하나는 이주단지 또는 이주대책"이라며 "분당의 경우 여유주택이 별로 많지 않다. 그런 경우 별도로 이주단지라든지 이주대책을 마련해서 9월에 개별 신도시에서 발표하는 기본 계획에 담을 것"이라고 말했다.
진현환 차관의 발언은 지난 5월 국토부가 제시했던 1기 신도시 재건축에 따른 이주대책과는 다소 결이 달랐다.
국토부는 올해 1월 10일 발표했던 '주택공급 확대 및 건설경기 보완방안'에서는 1기 신도시 재정비와 관련해 2025년부터 1기 신도시별 1곳 이상 이주단지를 먼저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런데 지난 5월 22일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선정 당시에는 이주단지 조성 방안이 빠지고 대신 주민의견을 반영해 주민 수요에 맞는 이주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상우 장관은 이와 관련해 "(이주단지가) 임대주택단지 같은 것을 지어 거기로 다 이사를 시킨다는 개념은 아니다"라며 "다양한 형태의 주택 공급을 촉진해 전세시장에 크게 무리를 주지 않고 순조롭게 이주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와 관련해 그동안 이주단지라고 하면 공공임대 주택을 떠올렸는데 그런 형태의 이주단지가 아니라면서 분양주택을 임시 사용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주택을 이주단지로 활용하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주단지라고 하면 공공임대를 생각하는데 공공임대는 다른 형태의 주택으로 활용이 어렵다. 그래서 분양주택 형태인데 임시 사용하는 그런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새로운 개념의 이주단지 조성은 분당뿐만 아니라 다른 1기 신도시에도 들어설 수 있다면서 관련 내용은 다음주쯤 공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spnam@yna.co.kr
남승표
spnam@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