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직방 자료]
지방은 상승 매매가 절반 이하…서울과 양극화 지속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중에서 상승 거래 비중이 2개월 연속 절반을 웃돌았다.
12일 직방이 국토교통부의 아파트 매매 거래를 분석한 결과 7월 서울의 아파트 매매 거래 중 51.7%는 종전 거래 가격과 비교해 가격이 올라 거래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6월의 50.3%에 이어 2개월 연속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을 웃돈 것이다.
서울 자치구별 상승 거래 비중이 50%를 넘어선 지역도 지난 5월 4개 지역에서 6월 14개 지역으로 크게 늘었고, 7월에도 17개 지역으로 늘며 서울 전역으로 오름세가 확산하는 모습이다. 17개는 서울 전체 자치구 25개의 68%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7월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에서는 상승 거래의 비중이 46%로 여전히 하락 거래의 비중이 더 크다.
경기 지역에서도 상승 거래 비중이 7월에 46%에 그쳤으나,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지역은 9개 지역으로 전달의 4개에서 늘어난 모습이다.
전통적으로 인기가 높은 과천시, 성남시 분당구의 경우 6월과 7월 모두 상승 거래가 절반을 웃돌았다. 또한 8호선 별내선 연장이나 지하철 3호선 연장 소식 등으로 구리시와 하남시도 7월 들어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었다.
인천은 상승 거래 비중이 7월에 44.7%를 나타냈고,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지역은 미추홀구 한 개 지역에 그쳤다. 수인 분당선과 1호선 주변의 6억 미만 대단지 아파트가 실수요를 이끌며 거래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방 광역도시의 7월 상승 거래 비중은 ▲경북 45.7% ▲충북 45.6% ▲전북 45.6% ▲전남 45.3% ▲충남 45.0% ▲광주 44.7% ▲울산 44.7% ▲경남 44.6% ▲대구 43.8% ▲대전 43.7% ▲부산 42.7% ▲강원 42.6% ▲세종시 42.4% ▲제주 41.7%로 집계됐다.
도시 내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긴 지역은 전남 11개 지역, 경북은 7개 지역, 충남 6개 지역 순으로 집계됐으며, 대구, 대전, 부산, 세종시, 울산은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긴 시군구가 한 곳도 없었다. 미분양이나 신규입주 물량 등의 영향으로 기존 아파트값이 약세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는 상승 거래가 여전히 서울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서울은 전셋값 상승과 공급부족의 불안감, 분양가 상승 등으로 아파트값 상승에 대한 우려가 매수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방 광역도시는 미분양의 적체와 공급 물량의 여파로 여전히 고전 중이다.
직방의 김은선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똘똘한 아파트' 찾아 서울의 외지인 거래는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며 서울 아파트에 대한 수요 쏠림은 심화하는 분위기"라며 "당분간 이 같은 분위기는 계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ysyoon@yna.co.kr
윤영숙
ysyoon@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