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예상보다 많은 'PF 정리 대상'…금융사 '충당금 폭탄' 불가피

24.08.29
읽는시간 0

경·공매 대상 확대로 추가 충당금 부담도 커져

저축銀, 경영에 큰 부담…구조조정성 M&A 계기될 수도

(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현정 윤슬기 기자 =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에 대한 1차 사업성 평가 결과 경·공매를 통한 구조조정 대상이 예상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관련 익스포저를 보유한 금융사의 재무적 부담도 한층 커지게 됐다.

PF 사업장 정리에 따른 손실을 오롯이 감당해야 하는 상황을 맞닥뜨리게 된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사, 중소형 증권사 등은 생존을 위해 사활을 건 힘겨운 구조조정을 진행해야 할 처지다.

금융당국은 이번 사업성 평가 결과가 금융회사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입장이지만, PF 부실 익스포저를 상당 규모로 보유하고 있는 금융사 입장에서는 만만치 않은 태풍이 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연체율 급등에 절반가량 '최하위' 등급

29일 금융당국이 공개한 1차 사업성 평가 결과에 따르면 만기 연장 3회 이상, 연체, 연체유예 사업장(33조7천억원) 중 유의·부실우려 등급을 받아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사업장은 21조원에 달한다.

더 이상 사업 진행이 곤란해 회수가 불가능해 손실처리해야 하는 '부실 우려' 사업장은 13조5천원에 이른다. 당초 당국이 예상한 7조원의 두 배에 가깝다.

저축은행은 1차 평가 대상 사업장 6조7천억원 중 절반인 3조2천억원 규모의 사업장이 '부실 우려'로 분류됐다.

증권사도 4조6천억원 규모의 평가 사업장 중 '유의'와 '부실 우려'등급이 각각 1조4천억원, 1조9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1차 평가 사업장 중 대다수를 구조조정해야 한다는 말이다.

특히 '부실 우려' 사업장은 경·공매 매각을 추진하고 금융회사는 대출액의 75%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금융회사가 9월 초까지 경·공매에 나올 부실 PF 사업장 리스트를 확정하면 중순께부터는 물량이 시장에 본격적으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

예상보다 많은 물량이 경·공매로 나오면 제값을 받을 수 없어 추가 손실이 불가피하다. 이 경우 충당금도 추가로 쌓아야 한다.

시장에서는 올 3분기 저축은행의 PF 충당금 규모는 최대치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최저 규제비율에 미달한 금융회사가 없어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6월말 기준 1차 평가대상 PF 사업장(33조7천억원)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6조7천억원이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 2조3천억원, 증권사 1조7천억원, 저축은행 1조6천억원 등이다.

업권별 자본비율은 여전사가 전분기대비 0.47%포인트(p) 오른 19.13%, 저축은행은 15.04%로 0.47%p 개선됐다.

상호금융과 새마을금고도 각각 7.85%에서 8.01%, 8.17%에서 8.21%로 상승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충당금 추가 적립에도 증자 등을 통해 대부분 업권의 자본비율이 개선됐으며, 이번 정리가 원활히 이행될 경우 하반기에는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안정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라면서도 "PF 연착륙을 위해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 및 연체율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축은행 재무적 부담 가중…M&A 신호탄되나

그러나 사업성 재평가에 따라 당초 예상치를 뛰어넘은 물량이 경·공매 나온 만큼 제값을 받을 수 없어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에 따라 저축은행의 재무적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미 저축은행은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강화와 부실사업장 정리 영향으로 충당금을 대거 쌓으면서 연속 적자를 기록 중이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은 올해 1분기 1천543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527억원 손실에 비해 적자 폭이 1천16억원 확대된 규모다.

1분기 대손충당금 전입액도 1조2천292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966억원에 비해 1천326억원 늘었다.

금융당국이 3개월 이상 연체된 부동산PF 대출을 부실로 규정하고 1개월마다 경·공매를 실시하라고 강제하면서 유상증자, 충당금 적립 등 추가 해결책 마련을 해야한다.

이미 동양, 대신, 애큐온, 페퍼, OK 등 일부 저축은행은 부동산 PF 부실로 인해 지난해 총 6천400억원을 유상증자를 진행했다.

바로저축은행, 엠에스저축은행도 최근 각각 300억원, 146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하는 등 올해 더 많은 규모의 유상증자가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정현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금융당국의 정책방향을 고려할 때 향후 부동산 PF 재구조화·정리로 인해 저축은행업권이 보유한 부동산 상당수 PF 사업장에서 관련 손실 인식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이러한 손실 규모는 대체로 이미 적립해 놓은 대손충당금 규모를 상회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여기에 당국이 올해 1·2분기 연속 연체율·고정이하여신비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한 저축은행 4곳에 대해 이달 중으로 경영실태평가를 실시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경영개선요구가 내려지면 예금금리 수준 제한, 임원진 교체 요구, 영업 일부 정지 등이 이뤄진다. 최고 단계인 경영개선명령에선 영업이 정지되거나 합병·매각될 수 있다.

김선주 한국기업평가 책임연구원은 "중대·중소형사는 상대적으로 이익창출력과 자본력이 미흡한 가운데 PF 익스포저의 질적 위험이 커 사업성 평가 가이드라인 개정에 따른 수익성·재무건전성 저하 부담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며 "부동산 PF 중심의 사업전략을 이어온 온 회사의 경우 영업실적 저하에 따른 시장점유율 하락까지 더해지며 신용도 하방 압력이 강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TV 제공]

hjlee@yna.co.kr

이현정

이현정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