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사업비 5.45조 들여 연인원 1천900여만명 이용
국토부 "친환경 공항 등 지역과 협의"
(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환경단체의 반대 등으로 지연되던 제주2공항 건설사업 기본계획이 확정됐다. 올해 하반기에는 설계에 들어가는 등 공항건설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기본계획을 이달 6일 고시하고 설계와 환경영향평가 등 후속 절차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기본계획에서 확정된 내용을 보면, 면적은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 551만㎡로 활주로(3천200mX45m) 1본, 계류장(31만1천㎡, 항공기 28대 주기), 여객터미널(11만8천㎡), 화물터미널(6천㎡) 교통센터 등이다. 총사업비는 5조4천500억원이다.
국토부는 제2공항을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친환경 공항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객터미널은 에너지 소비량의 60~8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지하수 보존, 생물 대체 서식지 조성 등 친환경 사업도 함께 시행한다.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2공항 건설에 따른 환경영향 저감 방향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추가적인 친환경 사업도 반영한다.
이번 사업으로 연간 1천690만명의 항공여객을 수용할 수 있게 되는데 국토부는 항공수요 증가 추이에 따라 연 1천992만명의 여객이 이용할 수 있도록 2단계 확장 사업도 추후 검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이번 사업에는 추후 확장할 사업의 부지 조성까지 포함됐는데 공항개발사업 이외의 문화·상업시설, 항공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에는 민자사업 등 다양한 추진방안도 검토한다.
이번 기본계획 고시 이후 기본설계와 환경영향평가 등 후속 절차도 진행된다. 환경영향평가는 제주특별자치도와 협의해야 하고 협의 내용은 제주도의회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만큼 지역 의견을 수렴해 관련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이상일 국토부 공항정책관은 "이번 기본계획 고시를 계기로 향후 절차를 관계법령 등 규정에 맞게 진행할 계획"이라면서 "향후 사업 추진 과정에서 친환경 공항 건설을 비롯해 구체적인 공항 건설 및 운영방안에 대해 지역과 협의하여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출처: 국토교통부]
spnam@yna.co.kr
남승표
spnam@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