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정부 공급대책 쏟아내지만…내년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 25%↓

24.09.25
읽는시간 0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정부가 8.8 주택공급 대책으로 수도권 중심의 공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그린벨트 해제 등 대규모 공급 정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여전히 시장에서는 2027년 3기 신도시 입주 전까지 공급 부족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회의론이 가시지 않고 있다.

25일 직방 집계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30세대 이상, 임대 및 도시생활주택 제외)은 30만8천488호로 추정됐다. 이는 작년보다 7%가량 줄어든 수준이다.

내년 입주 물량은 올해보다 더 줄어든다. 내년 전국 입주 예정 물량은 23만1천849호로 올해보다 24.84% 줄어들 것으로 추정됐다.

서울의 경우 올해는 2만4천529호로 작년보다 19.98%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에는 2만6천867호로 올해보다 9.53% 늘어날 전망이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올해 입주 예정 물량은 14만9천57호로 작년의 17만6천361호보다 15.48% 줄어들 전망이다. 내년 수도권의 입주 예정 물량은 10만9천27호로 올해보다 26.86% 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경기도의 입주 물량이 내년 크게 줄어들기 때문이다. 경기도의 내년 입주 예정 물량은 5만7천889호로 올해 대비 41.33%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입주 예정 물량은 올해 작년대비 2.36%가량 증가했으나 내년에는 22.96%가량 줄어들 전망이다.

지방에서는 대구(58.24%↓)와 세종(71.38%↓), 전남(45.08%↓), 경북(45.00%↓) 등의 입주 물량 감소가 두드러진다.

5년 평균(2020~2024년)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28만2천822호에 그치며, 수도권과 지방의 경우 각각 14만9천742호, 13만3천80호에 그친다. 서울의 경우 5년 평균 입주 물량이 2만9천730호에 달한다.

내년 아파트 입주 물량은 5년 평균 대비로도 18.02% 적은 수준이며, 수도권은 27.19% 적은 수준이다. 지방과 서울은 각각 5년 평균 대비 7.71%, 9.63% 적다.

정부가 지난해 5년간 270만호를 공급하겠다고 계획했으나 지난해부터 공급 물량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기대치를 밑돌고 있다.

7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누계 인허가는 17만1천677호로 전년동기대비 22.8% 줄었다. 수도권 인허가도 21.2% 줄었다.

1~7월 착공은 14만3천273호로 전년동기대비 27.5% 늘었으며, 수도권은 27.3% 증가했다. 준공(입주)은 24만8천605호로 작년보다 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인허가는 착공까지 1년가량의 시일이 소요되고, 착공과 분양은 입주까지 2~3년가량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중장기 물량이지만, 준공은 곧바로 입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단기적인 공급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준공은 수도권의 경우 올해 23.3% 감소했다.

정부는 지난 8월에 서울 그린벨트 해제와 재건축, 재개발 신속 추진, 비아파트 공급 활성화 등과 같은 공급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는 중장기 공급 물량이라 단기적인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지는 의문이다.

※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단위: 호/ %)

지역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전년比
전국281,752237,716254,034332,121308,488231,849- 24.84
수도권149,414131,982141,898176,361149,057109,027- 26.86
지방132,338105,734112,136155,760159,431122,822- 22.96
서울특별시45,70326,88220,88030,65524,52926,8679.53
부산광역시25,27917,84221,24425,18213,32111,933- 10.42
대구광역시13,47916,76118,84133,24824,76910,344- 58.24
인천광역시16,19317,29137,63141,71025,86424,271- 6.16
광주광역시10,5245,20313,2773,6108,5255,399- 36.67
대전광역시6,3316,2888,4203,8009,35610,89916.49
울산광역시1,7508513,3318,3765,2154,222- 19.04
세종특별자치시4,0627,6682,1571,4533,6161,035- 71.38
경기도87,51887,80983,387103,99698,66457,889- 41.33
충청북도8,3646,3234,7517,2739,54113,01636.42
충청남도8,4867,47615,12324,81316,63611,894- 28.50
전라남도10,9396,4396,7727,09610,7225,888- 45.08
경상북도12,1947,0941,05712,37021,08311,595- 45.00
경상남도12,3748,0936,02014,59418,76217,756- 5.36
제주특별자치도8267842321,6851,3401,47610.15
강원특별자치도9,69910,2513,9305,0959,7317,581- 22.09
전북특별자치도8,0314,6616,9817,1656,8149,78443.59

주) 30세대 이상, 아파트 기준, 임대 및 도생주 제외

<출처: 직방 자료 제공>

ysyoon@yna.co.kr

윤영숙

윤영숙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